All Issue

2019 Vol.19, Issue 1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0 April 2019. pp. 47~57
Abstract
School is a place where students who will take care of the future societies spend most of time just like their houses. The school should be a safe space where children and adolescents live happily in both physical and mental ways. However, the school bullying problem is becoming the biggest obstacle in the course of keeping school safe. Therefore, protecting students from the school bullying should be a priority for schools and societies.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changes in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school bullying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chool bullying was the highest in middle school. By gender, more school bullying occurred in boy students than in girl students. Considering the type of school bullying, violence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of the total. Cyber bullying was a type of school bullying that showed high increase rate in recent years. Second, the distribution of school bullying in Daejeon City was clustered and segregated in the specific schools and administrative dong.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develop and apply the school CPTED reflecting spatial characteristics of city.
학교는 미래 사회를 책임질 학생들이 가정만큼이나 많은 시간을 보내는 장소이다. 학교는 아동과 청소년들이 신체적·정신적으로 안전하고 행복하게 생활할 수 있는 공간이어야 한다. 하지만 학교폭력 문제는 학교를 안전한 공간으로 지켜가는 과정에서 가장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학교폭력으로부터 학생들을 보호하는 것은 학교와 사회가 가장 우선시해야 할 과제이다. 이 연구는 대전광역시를 사례로 학교폭력의 특성과 공간분포패턴 변화를 분석하였다. 첫째, 대전광역시 학교폭력의 요인별 특성을 살펴보았다. 중학교에서 가장 학교폭력이 많았으며,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의 학교폭력이 많았고, 폭행이 전체 학교폭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사이버 폭력이 증가 추세에 있었다. 둘째, 대전광역시 학교폭력은 특정 학교와 행정동에 공간적으로 군집·격리되는 특징을 보였다. 이 연구는 도시의 공간적 특성을 반영한 학교 CPTED의 개발 및 적용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References
  1. 고미정, 2014,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이 학교 내 범죄피해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교육부 보도자료, 2014, 3차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 기본계획 확정.
  3. 교육부, 2016, 「1차 학교폭력실태조사」.
  4. 김걸・이재용・강호제, 2012, 「범죄의 시공간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한 안전도시 관리전략 연구」, 안양: 국토연구원.
  5. 박경래・최인섭・강은영・박성훈・강용길・김상미, 2013, 「서울시 범죄예방디자인사업의 예비 효과성 분석: 마포구 염리동 및 강서구 공진중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6. 박종진, 2015, “학교현장의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 실태 및 적용방안 연구: 초등학교의 자연적감시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박준휘・강경연・강석진・강용길・강은영・강효진・권은선・김도우・김태민・박수진・박형민・성기호・신의기・이경훈・이제선・최민영・최인섭・홍영오, 2014, 「셉테드 이론과 실무Ⅰ」,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8. 박현호, 2017, 「범죄예방 환경설계 CPTED와 범죄과학」, 서울: 박영사.
  9. 송세윤, 2018, 「대전광역시 학교폭력의 공간적 분포와 CCTV의 CPTED 효과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송세윤・김걸, 2018, “대전광역시 학교폭력의 공간적 분포와 CCTV의 CPTED 효과 분석,” 2018년 한국지역지리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자료, 69-70.
  11. 이경훈・강석진・김도우・김은희・박노섭・배기범・성기호・안은희・오윤경・이유미・정지범・최진혁・하미경, 2015, 「셉테드 원리와 운영관리」, 서울: 박영사.
  12. 이재용・김걸, 2013, 「범죄예방을 위한 스마트 안전도시 구축방안」, 안양: 국토연구원.
  13. 이창한・이완희・김도우, 2016, 「서울형 학교 CPTED 가이드라인 개발」, 서울: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14. 정지명, 2016, “국내 CPTED 인증 학교시설의 범죄 안전성 만족도 조사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조민희・이재민, 2012, “범죄예방과 학교 안전을 위한 CPTED 적용방안,” 용인대학교 무도연구소지, 23(1), 95-108.
  16. 황희준・이승우・박현구, 2013, “국내 초등학교의 CPTED 적용여부와 학교 폭력 피해율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성북구와 광진구에 위치한 학교들을 중심으로,” 교육시설, 20(6), 3-10.
  17. Crowe, D. ed., 2000,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Applications of Architectural Design and Space Management Concepts, New York: National Crime Prevention Institute.
  18. Demkin, A. ed., 2004, Security Planning and Design: A Guide for Architects and Building Design Professionals, New York: John Wiley & Sons.
  19. Florida Department of Education, 2003, Florida Safe School Design Guidelines: Strategies to Enhance Security and Reduce Vandalism.
  20. Herbert, T., 1977, Crime delinquency and the urban environment, Progress in Human Geography, 1(2), 208-239.10.1177/030913257700100202
  21. Jacobs, J. ed., 1961,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New York: Random House.
  22. Jeffery, R. ed., 1971,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New York: Sage publications.10.1177/000276427101400409
  23. Newman, O. ed., 1972, Defensible Cities: Crime Prevention through Urban Design, Institute for Community Design Analysis, London: INC.
  24. Newman, O. ed., 1973, Defensible Space, London: Architectural Press.
  25. Saville, G. and Cleveland, G., 2008, Second generation CPTED: The rise and fall of opportunity theory, in Atlas, R. ed., 21st Century Security and CPTED: Designing for Critical Infrastructure Protection and Crime Prevention, New York: CRC Press, 79-90.10.1201/9781420068085.ch7
  26. 국민일보, 2013년 7월 23일, “서울 공진中, 학교폭력 우려의 장소를 놀이공간으로”
  27. 국제신문, 2017년 9월 5일, “부산 찍고 강릉서도 여중생 폭행, 학교폭력 사범 6만 명, 소년법 이대로?”
  28. 뉴스엔, 2011년 12월 22일, “대구중학생 자살 ‘동급생에 상습적 협박-폭행당했다’ 유서 충격”
  29. 매일경제, 2017년 7월 5일, “무기력한 초등교 학폭위 이럴거면 왜 만들었나?”
  30. 서울신문, 2017년 9월 3일, “부산 여중생들 또래 여중생 피투성이 되도록 폭행 후 무릎 꿇려”
  31. 국회의원 도종환 공식사이트, http://djh333.co.kr.
  32. 대전광역시교육청, http://www.dje.go.kr.
  33. 더불어민주당 도종환 의원실 홈페이지, http://djh333. co.kr.
  34. 부천시자원봉사센터 블로그, http://blog.naver.com.
  35. 서울특별시 공식 블로그, http://blog.seoul.go.kr/22083 2824216.
  36. 학교알리미, http://www.schoolinfo.go.kr.
  37. 학교폭력예방및대책에관한법률, 2017년 일부 개정, http:// pal.assembly.go.kr/law.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 Publisher(Ko) :한국지도학회
  • Journal Title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 Journal Title(Ko) :한국지도학회지
  • Volume : 19
  • No :1
  • Pages :47~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