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1 Vol.21, Issue 1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0 April 2021. pp. 39-52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forest landscape in Mt. Jiri Portion of Baekdudaegan as an ecological axis of the country over the past 100 years. A land cover map was created using the 1:50,000 topographic map produced in 1918 and compared with the 2007 land cover map provid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Spatial analysis using GIS and landscape analysis using FRAGSTATS were performed for the land cover maps in the two period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bout 147.05km2 of forest in the Mt. Jiri Portion was converted to other land uses, reducing its area. Among them, the change to agricultural area occupied the largest proportion. Second, in terms of landscape structure, forest fragmentation in the Mt. Jiri Portion of Baekdudaegan has progressed considerably. However, the degree of fragmentation showed internal differences. In the Baekdudaegan Protected Area, changes in forest area and landscape indices were insignificant, while the surrounding areas did not. Third, according to the standardization of the change values of the landscape indices at the Eup/Myeon units constituting the portion, high-level forest fragmentation proceeded in Unbong-eup and Ayeong-myeon, Namwon-si, and Jangye-myeon, Jangsu-gun. These areas are where the Baekdudaegan Protected Area is discontinuously or narrowly designated. In order to restore the integrity of Baekdudaegan as an ecological axis, it is necessary to ensure the continuity of the axis and manage the protected area by designating the spatial extent wider than the present.
본 연구의 목적은 지난 100여 년 동안 국토의 생태축으로서 백두대간 지리산권역의 산림 경관 변화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1918년 제작된 1:50,000 지형도를 이용해 토지피복도를 제작하여 비교의 기준으로 삼았고, 환경부가 제공하는 2007년 토지피복도를 이와 비교하였다. 두 시기의 토지피복도에 대하여 GIS 기반 공간분석과 FRAGSTATS 기반 경관분석을 수행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백두대간 지리산권역 내 산림의 약 147.05km2가 현재 다른 토지이용으로 전환되어 산림 면적이 감소하였다. 그중 농업지로의 변화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둘째, 경관구조 측면에서 백두대간 지리산권역 내 산림의 파편화가 진행되었다. 다만 파편화 정도는 내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백두대간보호지역으로 지정된 곳은 산림 면적과 경관지수의 변화가 미미하였지만, 그 주변 지역은 파편화가 많이 진행되었다. 셋째, 권역을 구성하는 읍·면 단위의 경관지수 변화 값을 표준화한 결과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과 아영면, 장수군 장계면에서 높은 수준의 산림의 파편화가 진행되었다. 이들 지역은 백두대간보호지역이 불연속적으로 혹은 협소하게 지정된 곳으로, 생태축으로서 백두대간의 온전성 회복을 위해서는 축의 연속성을 확보하고 보호구역을 공간적 범위를 현재보다 넓게 지정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다.
References
  1. 권선순・최선희・이상돈, 2012, "FRAGSTATS 모델을 이용한 용인시 수지/기흥 도시 녹지 변화 분석에 관한 연구," 환경영향평가, 21(5), 781-787.
  2. 김감영, 2018, "일제 강점기 제작 지형도의 지형 재현 정확도 평가," 한국지도학회지, 18(2), 23-37. 10.16879/jkca.2018.18.2.023
  3. 남영우, 2009, "광복 이전의 지도,"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한국 지도학 발달사」, 수원: 국토지리정보원, 311-349.
  4. 녹색연합, 1998, 「백두대간 환경대탐사 보고서」.
  5. 박종철·김만규, 2010, "시계열 자료를 활용한 야산의 토지이용 변화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3), 102-118.
  6. 배선학, 2007, "1910년대 지형도를 이용한 근대화 이후의 도시 변화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3), 93-103.
  7. 배재수·김은숙, 2019, "1910년 한반도 산림의 이해: 조선임야분포도의 수치화를 중심으로," 한국산림과학회지, 108(3), 418-428.
  8. 배재수·김은숙·장주연·설아라·노성룡·임종환, 2020, 「조선후기 산림과 온돌」, 국립산림과학원 연구신서, 119.
  9. 송국만·김양지·서연옥·최형순·최병기, 2019, "제주도 노거수 자연유산의 100년 전과 현재 분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7(2), 22-29. 10.18108/jeer.2019.22.5.37
  10. 오윤경·최진용·배승종·장민원, 2007, "경관생태지수를 활용한 농촌경관의 시계열적 변화 분석: 경기도 일부 시시·군을 대상으로," 한국농공학회지, 49(6), 69-81.
  11. 이동근·송원경·전성우·성현찬·손동엽, 2007, "백두대간지역의 산림훼손경향 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0(4), 41-53.
  12. 이준우·박범진·최윤호·김명준·전용준, 2004, "백두대간의 훼손 실태와 개선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4-26.
  13. 정성관·오정학·박경훈, 2005, "경관지수를 활용한 낙동강 유역 산림경관의 시계열적 패턴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8(2), 145-156.
  14. 최진영·강문성·배승종·김학관·정세웅, 2010, "FRAGSTATS 모델을 이용한 갑천 유역의 불투수면 변화에 따른 경관 구조 분석," 한국농공학회지, 52(4), 53-61. 10.5389/KSAE.2010.52.4.053
  15. 허성구·김기성·안재훈·윤정숙·임경재·최중대·신용철·유창원, 2007, "FRAGSTATS 모형을 이용한 도암댐 유역의 산림 파편화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1), 10-21.
  16. 환경부, 2020,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 http://www. law.go.kr.
  17. 황만익, 2002, "수도권의 토지 이용 변화: 1900년대 초기와 현재의 비교 연구," 서울대학교 사대논총, 65, 247-260.
  18. Martin, D. and Jones, R., 2015, What Transformation? Appropriate Transformations for Georeferencing Scanned Maps in ArcGIS, https://www.helyx.co.uk/ wp-content/uploads/2015/07/Transformations-White-Paper-low-res.pdf.
  19. McGarigal, K. and Marks, B.J., 1995, FRAGSTATS: Spatial Pattern Analysis Program for Quantifying Landscape Structure, USDA Forest Service, General Technical Report PNW-GTR-351, Pacific Northwest Research Station. 10.2737/PNW-GTR-351
  20. 국토지리정보원, https://www.ngii.go.kr
  21. 산림청, https://www.forest.go.kr
  22. 환경공간정보서비스, https://egis.me.go.kr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 Publisher(Ko) :한국지도학회
  • Journal Title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 Journal Title(Ko) :한국지도학회지
  • Volume : 21
  • No :1
  • Pages :39-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