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19 Vol.19, Issue 1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0 April 2019. pp. 59~68
Abstract
It is important to prevent crime in advance rather than take action after the crime has occurred, because crime causes human or material harm.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crime, areas vulnerable to crime should be extract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to extract crime vulnerable areas considering the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without using crime location information directly, considering the domestic circumstance where crime location information is not provided. Spatial information was extracted from a seamless digital topographic map using road width, road intersection, road angle, pavement material, and types of buildings adjacent to the road. Temporal information was also extracted by analyzing kernel density from floating population data provided in point form. For the spatio-temporal analysis, two characteristics information were overlaid to extract vulnerable areas. In order to verify the vulnerable areas, the road view images provided by Daum portal were check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areas were mostly deteriorated detached houses and the roads were not well maintained.
범죄는 인적 또는 물적으로 피해를 일으키기 때문에 범죄가 발생한 이후에 조치를 취하는 것보다는 사전에 범죄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범죄발생에 취약한 지역을 추출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범죄발생 위치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국내의 상황을 고려하여 실제 범죄정보를 직접적으로 사용하지 않으면서 시·공간적 특성을 고려한 범죄취약지역을 추출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공간적인 특성정보는 연속수치지도에서 추출한 도로폭, 도로교차점, 도로교차각, 포장재질, 도로에 인접한 건물의 종류를 이용하여 범죄에 취약한 위험도로를 추출하였다. 또한 시간적인 특성정보는 점 형태로 제공되는 유동인구 데이터를 커널밀도 분석하여 추출하였다. 시·공간적인 분석을 위하여 두 가지 특성정보를 중첩 분석하여 범죄취약지역을 추출하였다. 취약지역을 검증하기 위해 다음포탈에서 제공하는 로드뷰 영상을 확인한 결과 추출된 취약지역이 노후화된 단독주택이 많고 도로주변이 잘 정비되지 않은 지역임을 알 수 있었다.
References
  1. 국가법령정보센터, 2015, 「수치지형도 작성 작업규정」.
  2. 김의명, 2014, “수치지도 2.0을 이용한 범죄 취약도로 및 교차점 식별기법”,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22(4), 135-142.
  3. 김현중・이성우, 2013, “범죄발생의 공간의존성 변화와 핫스팟 분포, 2001-2010,” 한국주거환경학회지, 11(2), 27-41.
  4. 노성훈, 2014, “지역사회의 범죄, 외국인, 무질서가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수준 분석,”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5(4), 445-478.
  5. 노성훈, 2015, “시공간 분석과 위험영역모델링을 활용한 범죄예측모형의 예측력 검증,”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6(3), 239-266.
  6. 대검찰청, 2018, 「2018 범죄분석」.
  7. 박동현・강인준・최현・김상석, 2015, “GIS와 범죄예방환경설계 기반의 범죄취약지도 작성,”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23(1), 31-37.
  8. 박소랑, 2013, “GIS와 CPTED를 이용한 범죄 취약지 선정,” 남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박윤환・정혜원, 2013, “수도권 청소년 성매매의 공간패턴에 관한 연구: 탐색적 공간자료 분석의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범죄학회지, 7(1), 109-151.
  10. 박진이, 2014, “연속수치지도와 공간통계를 이용한 범죄발생취약지역 분석,” 남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1. 박진이・김의명, 2015, “격자망 분석을 통한 범죄 발생 취약지역 추출 기법,” 한국측량학회지, 33(4), 221-229.
  12. 박현미, 2014, “연속 수치지도를 이용한 범죄 취약지 추출,” 남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손세린・강영옥, 2017, “서울시 여성운전자 교통사고의 시공간 특성 분석,” 한국지도학회지, 17(2), 89-98.
  14. 서승연・이우민・박효숙・채인병・이경환, 2018, “범죄예방 환경개선사업 효과에 대한 시계열적 분석: 천안시 원성동 사례를 중심으로,” 국토연구, 98, 37-62.
  15. 신민규・김의명, 2018, “5대 범죄와 물리적 환경 영향요인의 상관 분석,” 한국지도학회지, 18(3), 131-140.
  16. 유복모・유연, 2012, 「측량학 개관」, 서울: 박영사.
  17. 이건학・신정엽・홍유진, 2013, “젠더화된 도시 공간 탐색:도시 건물의 용도별 공간 분포를 중심으로,” 한국지도학회지, 13(3), 57-73.
  18. 이성우・조중구, 2006, “공간적, 환경적 요인이 범죄피해에 미치는 영향,” 서울도시연구, 7(2), 57-76.
  19. 이희연・노승철, 2013, 「고급통계분석론 이론과 실습」, 고양: 문우사.
  20. Caplan, J.M., Kennedy, L.W., and Piza, E.L., 2013, Joint utility of event-dependent and environmental crime analysis techniques for violent crime forecasting, Crime & Delinquency, 59(2), 243-270.10.1177/0011128712461901
  21. Cregg, J., 2018, A Study of CPTED Principles and their Relationship to Crime Risk in Beaumont, Texas, Ph.D. Dissertation, Department of Geography, Texas State University.
  22. Hiller, B., 2004, Can streets be made safe?, Urban Design International, 9(1), 31-45.10.1057/palgrave.udi.9000079
  23. Silverman, B.W., 2018, Density Estimation for Statistics and Data Analysis, Oxford: Routledge.10.1201/9781315140919
  24. Veenendaal, B. and Houweling, T., 2000, Gut feelings, Crime Data and GIS, Proceedings, Conference on Crime Mapping: Adding Value to Crime Prevention and Control, September 21-22, Adelaide, Australia, 1-11.
  25. 다음, https://www.daum.net.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 Publisher(Ko) :한국지도학회
  • Journal Title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 Journal Title(Ko) :한국지도학회지
  • Volume : 19
  • No :1
  • Pages :59~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