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0 Vol.20, Issue 2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1 August 2020. pp. 99-111
Abstract
At the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he Standardization of Geographical Names (UNCSGN) held in New York in August 1992, South Korea and North Korea raised the justification of the name of the East Sea while raising the injustice of the name of the Sea of ​​Japan, which is commonly used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owever,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Japanese government has denied names other than the Sea of ​​Japan because it is the only name established in the 19th century in the West. In the meantime, debates and disputes over the East Sea and the Sea of ​​Japan have continued.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perceptions of Korean and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on the names of the East Sea and the Sea of ​​Japan as part of the problem-solving process. As a result, Korean university students were found to have negative images and emotions about the Sea of Japan. Also, as a standard geographical name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Korean university students prefer the East Sea, and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prefer the East Sea/Sea of ​​Japan. In addition,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both Korean and Japanese students responded the most to the discussion between the Korean and Japanese governments.
1992년 8월 뉴욕에서 개최된 유엔지명표준화총회에서 한국과 북한은 국제사회에서 통용되고 있는 일본해 지명의 부당성을 주장하면서 동해 표기의 정당성을 제기했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국제사회에서 일본해는 19세기 서구에서 확립된 유일한 명칭이므로 일본해 이외에 다른 명칭을 단호히 거부하고 있다. 그동안 한일 간에 동해와 일본해를 둘러싼 논쟁과 분쟁은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문제 해결의 일환으로 한일 대학생들의 동해/일본해 지명에 대한 인식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의 대학생들은 일본해 지명에 대해 좋지 않은 이미지와 감정을 가진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국제사회의 표준 지명으로 한국의 대학생들은 동해를 선호하고, 일본의 대학생들은 동해/일본해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이 문제의 해결 방안으로 한일 대학생들은 공통적으로 한일 정부의 논의에 가장 많이 응답했다.
References
  1. 교육부, 2015, 「사회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부.
  2. 김 걸, 2015, “대한민국 동해의 국제표준 명칭에 대한 발전적 대안 모색,”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8(3), 137-145.
  3. 김연갑, 1998, 「애국가 작사자 연구」, 서울: 집문당.
  4. 신동립, 2015, 「애국가 작사자의 비밀」, 서울: 지상사.
  5. 심정보, 2013, “근대 일본과 한국의 지리교과서에 나타난 동해 해역의 지명에 대한 고찰,” 문화역사지리, 25(2), 37-55.
  6. 심정보, 2018,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과서에 기술된 동해 표기 내용의 개선 방향,” 문화역사지리, 30(3), 92-107.
  7. 심정보, 2019, 「불편한 동해와 일본해」, 서울: 밥북.
  8. 심정보, 2020, “한일 사회과 예비 교사들의 상대국 이미지와 독도 인식의 비교 분석”,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8(1), 49-64.10.31347/dokdo.2020.0.28.7
  9. 한병관, 2015.07.07, “동해 국제표기 변경 목소리 커지는 까닭,” 일요신문.
  10. 産經新聞, 2014.10.09., 社会科で『日本海に東海併記』の地図配布 東京・武蔵野市の中学校 都教委は「不適切」.
  11. 読売新聞, 2019.01.18., 「日本海」韓国と協議迫る 国際機関 呼称巡り日本政府に.
  12. 中川喜代子, 2006, 「偏見と差別のメカニズム」, 東京: 明石書店.
  13. Choi, Y., 2016, Korean-American Voice: Virginia Legislation for the Dual Name of the Sea between Korea and Japan-East Sea and Sea of Japan,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16(2), 127-140.10.16879/jkca.2016.16.2.127
  14. Choo, S., 2014, Bringing Human into the Game: A Way Forward for the East Sea/Sea of Japan Naming Issue,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14(3), 1-13.10.16879/jkca.2014.14.3.001
  15. Choo, S., 2018, The Essence and Practicality of Dual Naming: Considerations Toward the East Sea/Sea of Japan Dual Naming,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18(3), 33-43.10.16879/jkca.2018.18.3.033
  16. Park, Y., 2019, Public perception of the naming of the East Sea/Sea of Japan in South Korea, The 25th International Seminar on Sea Names, 159-160.
  17. 일본 외무성 홈페이지, https://www.mofa.go.jp
  18. 한국 외교부 홈페이지, http://www.mofa.go.kr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 Publisher(Ko) :한국지도학회
  • Journal Title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 Journal Title(Ko) :한국지도학회지
  • Volume : 20
  • No :2
  • Pages :99-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