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19 Vol.19, Issue 1

Research Article

30 April 2019. pp. 1~16
Abstract
It has already been revealed in a prior study that the first modern map of the Korean Peninsula was produced by the Japanese Military Surveys. The Korean Empire government established an intellectual department in 1895 and established the Yangjiamun in 1898 and attempted to train the survey for mapping and development, but there was some discussion among the Chungchuwon about the abolition of the issue. Map and survey education for making modern maps of Korea was first conducted at Yungheung Agricultural Training Center in 1909. It was the implementation of the new education and forest law that the survey education became an urgent matter for Korea. As a result, surveying schools and institutes have been established in Seoul and other parts of the country, stimulating survey education. It is believed that the year 1908 to 1909 was the heyday of surveying school. At this time, Yungheung Agricultural Training Center of Bosung Primary School was transferred to the forestry properties of Bosung College. However, the four short years of surveying have been short-lived due to financial difficulties and the annexation of Korea.
한반도 최초의 근대지도 제작이 일제 참모본부 간첩대에 의해 이루어졌음은 이미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다. 대한제국 정부는 1895년 지적과를 설치하였고 1898년 양지아문을 만들어 지도제작을 위한 측량교육을 시도하였으나, 중추원에서는 양지아문의 폐지를 주장하는 논의가 일어나기도 하였다. 우리나라에서 근대지도를 제작하기 위한 지도 및 측량교육은 1909년 보성소학교 내에 설치된 신흥농업강습소가 융흥농림강습소로 개칭된 후 신설되었던 임업속성과가 보성전문학교로 이관되면서 실시한 것이 효시였다. 우리나라에 측량교육이 초미의 관심사가 된 것은 신교육구국운동과 삼림법의 시행에 있었다. 그 이유로 측량학교와 강습소가 서울을 비롯한 전국 각지에 설립되어 측량교육이 활기를 띠게 되었다. 우리나라 역사상 1908~1909년은 측량학교 전성시대였다고 간주되는데, 바로 이와 같은 시기에 보성소학교의 신흥(융흥)농업강습소가 보성전문학교의 임업속성과로 이관되어 측량교육을 실시했던 것이다. 그러나 4년에 걸친 짧은 측량교육은 재정난과 한일합병으로 단명에 그치고 말았다.
References
  1. 고려대학교, 1965, 「六十年誌」, 서울: 고려대학교출판부.
  2. 고려대학교 100년사 편찬위원회, 2008, 「고려대학교 100년사」, 서울: 고려대학교출판부.
  3.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육당전집편찬위원회, 1973, 「六堂崔南善全集 Ⅰ한국사 1」, 서울: 玄岩社.
  4. 김봉희, 1999, 「한국 개화기 서적문화 연구」,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5. 김영우, 1997, 「한국개화기의 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6. 김원모, 2002, “한국의 영국 축하사절단 파견과 한·영 외교관계,” 동양학, 32, 87-126.
  7. 김정해, 1987, “1895-1910 사립학교의 설립과 운영,” 역사교육논집, 11, 121-153.
  8. 김효정, 2015, “韓末 民立 師範學校의 設立과 敎育救國運動,”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남영우, 1992, “일제 참모본부 간첩대에 의한 병요조선지지 및 한국근대지도의 작성과정,” 문화역사지리, 4, 77-96.
  10. 남영우, 1997, 「舊韓末韓半島地形圖(1권-4권)」, 서울: 성지문화사.
  11. 남영우, 2011, 「일제의 한반도 측량침략사」, 파주: 법문사.
  12. 류재명, 2001, “지리교육,” 「한국의 지리학과 지리학자」, 서울: 한울아카데미, 298-347.
  13. 北田幌司렁남영우·이호상, 2009, “일본의 지도학자 伊能忠敬의 생애와 업적,” 한국지도학회지, 9(2), 19-32.
  14. 서울대학교 60년사 편찬위원회 편, 2006, 「서울대학교 60년사」,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15. 신용하, 1976, 「독립협회연구」, 서울: 일조각.
  16. 왕현종, 1995, “대한제국기 量田·地契事業의 추진과정과 성격,” 한국역사연구회, 「대한제국의 토지조사사업」, 서울: 민음사.
  17. 원영희, 1988, 「韓國地籍史」, 서울: 신라출판사.
  18. 유동준, 1987, 「俞吉濬傳」, 서울: 일조각.
  19. 윤병희, 1998, 「유길준 연구」, 서울: 국학자료원.
  20. 윤병희, 2017, “유길준의 흥사단 운영,” 국사관논총, 23, 54-77.
  21. 윤태영, 1907, 「中等地文學」, 京城: 普成館.
  22. 이규철, 2014, “근대적인 측량기술의 도입과 건축도면의 제작”, 근대건축도면 아카이브의 역사적 가치와 활용방안, 기록인 2014 WINTER, 29, 24-33.
  23. 이송희, 1982, “韓末 西友學會의 愛國啓蒙運\動과 思想,” 韓國學報, 26, 35-80.
  24. 이인화 역, 1994, 「한국과 이웃 나라들」, 서울: 살림출판사. (Bishop, I.B., 1905, Korea and Her Neighbours, London.)
  25. 이지호・홍시환, 1956, 「地圖의 硏究: 讀圖法」, 서울: 을유문화사.
  26. 이진호, 1989, 「大韓帝國地籍 및 測量史」, 서울: 토지.
  27. 조익순・이원창, 2002, 「고종황제의 충신 이용익의 재평가」, 서울: 해남.
  28. 최선웅, 2005, “최선웅의 고지도 이야기 3,” 월간 산, 3, 371-373.
  29. 최선웅, 2009, “지도제작 기술의 변천,” 「한국 지도학 발달사」, 국토해양부 국립지리정보원, 398-418.
  30. 度支部 臨時財産整理局 測量課 編, 1908a, 「土地測量術」, 漢城: 龍山印刷局.
  31. 度支部 臨時財産整理局 測量課 編, 1908b, 「土地測量術: 圖根及細部測量之部」, 漢城: 龍山印刷局.
  32. 허경진 역, 2006, 황현, 1864~1910, 「梅泉野錄」, 서울: 서해문집.
  33. 황영원, 2013, “근대전환기의 서적과 지식 체계 변동: 皇城
  34. 新聞의 광고를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81, 321-345.
  35. Nam, Y.W., 1997, Japanese Military Surveys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Meiji Era, Hardcare, H. and Kern, A.L. eds, New Direction in the Study of Meiji Japan, Leiden: Brill, 335-342.
  36. 李鎭昊, 2014, 「日本帝國時代における朝鮮の領土測量に關する硏究」, 長崎大学大学院 博士學位論文.
  37. 李鎭昊・全炳德, 2007, “日本陸地測量部による朝鮮半島測量の步みと朝鮮地方民の抵抗,” 土木學會論文集D, 63(3), 435-444.
  38. 神田精輝, 1925, 「地理敎授に於ける地圖及略圖描法の理論と其取扱法」, 東京: 大同館藏版.
  39. 朝鮮總督府 臨時土地調査局, 1910, 「朝鮮總督府 臨時土地調査局 敍任及辭令」, 局報 第1號 附錄.
  40. 堤慶藏, 1904, 「土地測量法: 碎部測量之部」, 仙臺: 仙臺稅務硏究會.
  41. 陸地測量部 編, 1922, 「陸地測量部沿革誌」, 東京: 陸軍參謀本部.
  42. 日本海軍水路局, 1875a, 東海岸朝鮮圖.
  43. 日本海軍水路局, 1875b, 朝鮮國全圖.
  44. 日本海軍水路局, 1876a, 月尾島海峽略測圖.
  45. 日本海軍水路局, 1876b, 朝鮮江華島圖.
  46. 日本海軍水路局, 1877, 朝鮮國釜山港.
  47. 日本外務省, 2014, 「日本外交文書 第37圈 第1冊」, 東京: 白峰社
  48. 測量・地圖百年誌編集委員會, 1970, 「測量·地圖百年史」, 東京: 日本測量協會.
  49. 태안신문, 2017년 2월 15일, “태안역사이야기 (1) 화양의숙 → 태안초등학교의 발자취”.
  50. 『東亞日報』.
  51. 『大韓每日申報』.
  52. 『大韓帝國官報』.
  53. 『皇城新聞』.
  54.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이용익.
  55. 네이버 블로그, http://allsteel.blog.me/18970865.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 Publisher(Ko) :한국지도학회
  • Journal Title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 Journal Title(Ko) :한국지도학회지
  • Volume : 19
  • No :1
  • Pages :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