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19 Vol.19, Issue 3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1 December 2019. pp. 75~86
Abstract
The Land Use Regulation Map (LURM) is a map which combines the law with a map to determine the legal effect applicable to the range of land use regulation by means of an administrative process such as announcement. However, due to conflict between the LURM and Cadastral Map (CM) indicating the range of ownership, such legal effect is often invalidated. Therefore, such invalidation of the law threatens the reliability and stability of the law. As such, this thesis is intended to propose improvement methods that focus on legal and institutional aspects in order to protect landowners from the infringement of their property rights under land use regulation as well as to ensure that legal effect of the areas subject to land use regulation remains effective. Such improvement methods include. First, Cadastral Computerized Data (CCD) coverage and usage restrictions should be abolished.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 intellectual overlay of the Korea Railroad Corporation (KR) to verify the improvement plan showed that the cost-benefit ratio (B/C) is 16.1, which is highly economically feasible. Second, the early establishment of Digital Cadastral Map (DCM) which will be followed by a legal fiction process (One-Stop-Service) of 22 relevant laws, making it applicable to LURM. Among these, the Railroad Construction Act has been in effect since its resolution at a plenary session. As mentioned above, laws and maps are not separate any longer, but mutually supportive in development through a sustainable and new type of combination, and this work shall continue in a follow-up study.
토지이용규제지도(LURM)는 법과 지도가 결합된 것으로 토지이용권 제한범위의 고시라는 행정행위를 통하여 법의 효력을 확정하는 지도이다. 그러나 토지이용규제지도와 소유권 범위를 표시한 지적도와 서로 불일치하여 법적 효력이 취소되는 사례가 상당수 발생하여 법의 신뢰성・안정성이 위협받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토지이용규제지역의 법적 효력 유지와 함께 토지소유자 및 임차인이 재산권을 침해 받지 않도록 법적 개선 방안을 제안한다. 첫째, 지적전산자료(CCD) 제공 범위 및 이용의 제한을 폐지하여야 한다. 아울러 개선안에 대한 실증을 위해서 한국철도시설공단(KR)의 지적중첩도 사례를 통해 분석한 결과 비용・편익비(B/C)가 16.1로 경제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자지적도(DCM)를 조기 구축 후 토지이용규제지도에 사용할 수 있도록 22개 관련 법을 의제 처리하도록 한다. 물론 그 가운데 철도건설법 및 택지개발촉진법 등 의 경우 국회에서 의결되어 현재 시행하고 있다. 더 이상 법과 지도는 별개가 아니다. 따라서 새로운 형태의 결합으로 나타나게 될 것이며, 문제점을 개선, 보완・발전시킬 수 있도록 후속 연구가 이어져야 한다.
References
  1. 고헌환, 2006, “토지재산권의 사회적 구속성의 한계에 관한 법리,” 법학연구, 24, 57-84.
  2. 공순진·이재영, 2011, “토지이용권에 대한 법경제학적 분석,”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 15(1), 55-84.
  3. 국토교통부, 2010, “「국가기간교통망계획 제2차 수정계획」 확정고시,” 종합교통정책과, 203.
  4. 국토연구원, 2008, “국토연구원 소식 - ‘토지이용규제정보시스템(LURIS) 지자체 업무담당자 실무교육’ 실시 외,” 국토, 326, 158-159.
  5. 국회도서관, 2017a, “독일의 지형도와 지적도,” 의회정보실 경제사회정보과, 1-4.
  6. 국회도서관, 2017b, “독일의 토지이용규제 관련 입법례,” 법률정보실 외국법률정보과, 1-6.
  7. 국회도서관, 2017c, “프랑스 토지소유권과 사용권 관련 입법례,” 법률정보실 외국법률정보과, 1-7.
  8. 국회도서관, 2018a, “독일 지형도의 유형별 사진형태,” 의회정보실 경제사회정보과, 1-5.
  9. 국회도서관, 2018b, “독일의 지적도 지형도 중첩,” 의회정보실 경제사회정보과, 1-4.
  10. 국회도서관, 2018c, “미국 영국의 지형도 형태,” 의회정보실 경제사회정보과, 1-4.
  11. 국회도서관, 2018d, “미국 지형도,” 의회정보실 경제사회정보과, 1-10.
  12. 국회도서관, 2018e, “미국의 지적도 관련 입법례,” 법률정보실 외국법률정보과, 1-6.
  13. 국회도서관, 2018f, “미국의 지형도 관련 입법례,” 법률정보실 외국법률정보과, 1-3.
  14. 국회도서관, 2018g, “미국의 토지이용규제 관련 입법례,” 법률정보실 외국법률정보과, 1-4.
  15. 국회도서관, 2018h, “영국의 토지공개념 및 토지이용규제 관련 입법례,” 법률정보실 외국법률정보과, 1-4.
  16. 국회도서관, 2018i, “일본의 지적도 및 지형도의 중첩,” 의회정보실 경제사회정보과, 1-3.
  17. 국회도서관, 2018j, “일본의 지형도 및 지적도 샘플,” 의회정보실 경제사회정보과, 1-3.
  18. 국회도서관, 2018k, “일본의 토지이용규제법과 지도표기 의무규정,” 법률정보실 외국법률정보과, 1-4.
  19. 국회도서관, 2018l, “프랑스 지적도 및 지형도 관련 입법례,” 의회정보실 경제사회정보과, 1-5.
  20. 국회도서관, 2018m “프랑스의 지형도와 지적도 샘플,” 의회정보실 정치행정정보과, 1-8.
  21. 국회입법조사처, 2017a, “국토교통위원회 소관 법률 및 토지이용규제기본법 규율 법령 중 경미한 변경 사유관련 조사,” 경제산업조사실 국토해양팀. 1-6.
  22. 국회입법조사처, 2017b, “의제 및 추정의 개념,” 정치행정조사실 법세사법팀, 1-7.
  23. 국회입법조사처, 2017c, “토지(필지)의 면적 또는 경계 변화에 따른 당연 적용 여부,” 경제산업조사실 국토해양팀, 1-8.
  24. 국회입법조사처, 2018, “지적측량에 따른 경계의 당연 변경여부,” 경제산업조사실 국토해양팀, 1-8.
  25. 김서기, 2018, “토지공개념에 입각한 토지소유권의 상하(上下) 범위 고찰,” 법학연구, 57, 59-82.
  26. 김환학, 2014, “법률유보: 중요성설은 보장행정에서도 타당한가,” 행정법연구, 40, 1-28.
  27. 문정균・권헌영・조형식・손홍규, 2014, “선형형태 사회기반시설물의 지형도면 고시 개선방안,” 대한토목학회논문집, 34(4), 1327-1334.
  28. 박균성・김기표・김재광・정남철・윤혜선・윤기중・정관선・배효성・황태익, 2017, 「인・허가의제 제도의 집행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세종: 법제처.
  29. 박성규, 2009, “정부의 토지이용규제와 사적 재산권 보호에 관한 경제학적 분석,”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0. 박종준, 2014, “행정법상 법률의제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1. 송동수, 2011, “행정기관의 고시의 법적 성질과 권리구제,” 토지공법연구, 52, 239-267.
  32. 이부하, 2008, “헌법유보와 법률유보,” 공법연구, 36(3), 201-224.
  33. 이재삼, 2010, “우리나라 토지이용과 통제방안에 관한 연구,” 토지공법연구, 50, 93-125.
  34. 이재영, 2012, “토지이용권의 현대적 해석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정우형, 2010, “일제 토지조사사업과 지적재조사사업의 비교연구,” 한국지적정보학회지 12(1), 157-172.
  36. 정인철, 2012, “미나르 지도의 지도학적 특성과 주제도 발달에 미친 영향,” 한국지도학회지, 12(1), 49-61.
  37. 한국개발연구원・국토교통부, 2015, 「지적재조사 추진체계 개선방안에 관한연구」.
  38. 황보상원・서철수・이용호・홍성언・김학준・박정임・이동훈・서용진・김정우・박종덕・양정란・고석민・이태윤, 2015, 「연속지적도 관리체계 개선방안 연구」, 서울: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39. 한국철도시설공단, 2016, “실시설계 초기 단계에서부터 LX 제공 지적 중첩도와 공간정보 활용,” 시설본부재산용지처, 1-2.
  40. 한국철도시설공단, 2018, “최근 10년간 국가교통망계획(타당성, 기본 및 실시) 및 권역별 교통망계획 등,” 건설본부고속철도처 고속사업부, 1-3.
  41. 홍성언, 2011, “연속지적도면의 정비와 지형도면고시에 활용 방안,”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2(11), 4826-4834.10.5762/KAIS.2011.12.11.4826
  42. Braverman, I., 2011, Hidden in plain view: legal geography from a visual perspective, Law, culture and the humanities, 7(2), 173-186.10.1177/1743872109355579
  43. Braverman, I., Blomley, N., Delaney, D., and Kedar, A. eds., 2014, The Expanding Spaces of Law: A Timely Legal Geography, Stanford, California: Stanford University Press.10.2307/j.ctvqsdzbj
  44. Cerba O. and Cepicky J., 2012, Web Services for Thematic Maps, in Peterson M. ed., Online Maps with APIs and WebServices, Lecture Notes in Geoinformation and Cartography, Berlin, Heidelberg: Springer, 141-155.10.1007/978-3-642-27485-5_10
  45. Cobb, M.A., Chung, M.J., Foley III, H., Petry, F.E., Shaw, K.B., and Miller, H.V., 1998, A rule-based approach for the conflation of attributed vector data, GeoInformatica, 2(1), 7-35.10.1023/A:1009788905049
  46. Di Lisio, A. and Russo, F., 2010, Thematic maps for land-use planning and policy decisions in the Calaggio stream catchment area, Journal of Maps, 6(1), 68-83.10.4113/jom.2010.1105
  47. Doytsher, Y., Filin, S., and Ezra, E., 2001, Transformation of datasets in a linear-based map conflation framework, Surveying and Land Information Systems, 61(3), 159-169.
  48. Eck, J., Chainey, S., Cameron, J., and Wilson, R., 2005. Mapping Crime: Understanding Hotspots,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Justice.
  49. Effenberg, W.W., Enemark, S., and Williamson, I.P., 1999, Framework for Discussion of digital spatial data flow within cadastral systems, Australian Surveyor, 44(1), 35-43.10.1080/00050351.1999.1055877
  50. Fischel, W.A., 2000, Zoning and land use regulation, Encyclopedia of Law and Economics, 2, 403-442.
  51. Fox, J., 1998, Mapping the commons, the social context of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ies, The Common Property Resource Digest, 45, 1-4.
  52. Gallent, N. and Kim, K.S., 2001, Land zoning and local discretion in the Korean planning system, Land Use Policy, 18(3), 233-243.10.1016/S0264-8377(01)00017-5
  53. HM Land Registry, 2017, Index Map: Official Search (PG10), https://www.gov.uk/.
  54. Huh, Y., Yang, S., Ga, C., Yu, K., and Shi, W., 2013, Line segment confidence region-based string matching method for map conflation,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78, 69-84.10.1016/j.isprsjprs.2013.01.006
  55. Kao, S.P., Tu, C.P., and Chen, C.N., 2013, A coordinate vector correction method to improve the traditional affine transformation graphic digitised cadastral map, Survey Review, 45(332), 352-356.10.1179/1752270612Y.0000000032
  56. Lees, M.A. 1994, Preserving Property Values-Preserving Proper Homes-Preserving Privilege: The Pre-Euclid Debate over Zoning for Exclusively Private Residential Areas, 1916-1926, University of Pittsburgh Law Review, 56(2), 367-440.
  57. McCloskey, M.J., 1998, Visualizing the law: Methods for mapping the legal landscape and drawing analogies, Washington Law Review, 73(1), 163-192.
  58. Moon, J.K., Sohn, H.G., Kim, S., Hong, S.H., and Cho, Y.S., 2018, Using law enforcing thematic maps for public announcements in South Korea,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22(2), 794-803.10.1007/s12205-017-1895-9
  59. Roy, F. and Genovese, E., 2012, From parcels to global cadastre: challenges and issues of the post-cadastral reform in Quebec, Survey Review, 44(326), 181-188.10.1179/1752270611Y.0000000028
  60. Stanfield, B.J., Bliss, J.C., and Spies, T.A., 2002, Land ownership and landscape structure: a spatial analysis of sixty-six Oregon (USA) Coast Range watersheds, Landscape Ecology, 17(8), 685-697.10.1023/A:1022977614403
  61. Vandevelde, K.J., 1980, The new property of the nineteenth century: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concept of property, Buffalo Law Review, 29(2), 325-368.
  62. Weisse, M.J., Omri, M., White, G., Roth, R.E., and Naughton-Treves, L., 2015, Who owns paradise? Using web mapping to enhance a geography course exercise about tropical forest conservation, Journal of Maps, 11(3), 525-533.10.1080/17445647.2014.935504
  63. 국토일보, 2015년 8월 12일, “강남구, “국제교류복합지구 무효··· 법적대응 선포”
  64. 뉴시스, 2017년 4월 5일, “철도공단, 실시설계 공사 계획선과 용지매수 지적 분할선 일치시켜”
  65. 서울경제, 2016년 12월 5일, “철도공단, Lx와 협업 통해 용지매수 10개월 단축”
  66. 제주의소리, 2015년 2월 5일, “제주신화역사공원사업 효력 무효?…지형도면고시 누락 ‘하자’”
  67.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68. 종합법률정보, https://glaw.scourt.go.kr
  69. Collectivites-locales, https://www.collectivites-locales.gouv.fr
  70. Service de consultation du plan cadastral, https://cadastre. gouv.fr
  71. NC OneMap, http://www.nconemap.gov
  72. 대법원 1993.2.9., 선고 92누5607 판결, [도시계획선지적고시등처분무효].
  73. 대법원 1996.3.22., 선고 95누13920 판결, [토지형질변경행위허가거부처분취소].
  74. 대법원 2000.3.23., 선고 99두11851 판결, [재개발편입지구에대한사업시행인가를위한공람공고무효확인등].
  75. 대법원 2007.1.25., 선고 2004두12063 판결, [도시계획시설결정및지형도면승인처분취소].
  76. 대법원 2016.5.24., 선고 2012다87898 판결, [소유권확인] <지적도상 경계 표시를 정정하기 위한 쟁송방법이 문제 된 사건>.
  77.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제76조.
  78. 민법 제279조.
  79. 민법 제303조.
  80. 민법 제618조.
  81.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제2조.
  82. 주택임대차보호법 제2조.
  83.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
  84. 토지이용규제 기본법 시행령 제7조.
  85. 토지이용규제 기본법 제1조.
  86. 토지이용규제 기본법 제8조.
  87. 헌법 제122조.
  88. 헌법 제23조 제3항.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 Publisher(Ko) :한국지도학회
  • Journal Title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 Journal Title(Ko) :한국지도학회지
  • Volume : 19
  • No :3
  • Pages :75~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