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search Article

    Sustainable Geographical Naming and the Naming of the East Sea: Progress of Academic Discussions and Further Research Topics

    지속가능한 지명 사용과 동해 표기: 학술 논의의 진전과 향후 주제

    Sungjae Choo

    주성재

    This study aims to summarize the history and contents of academic discussions on the naming of the East Sea, evaluate their achievements, …

    이 연구는 동해 표기에 관한 학술 논의의 역사와 내용을 정리하여 평가하고, 새로운 지명 사용의 환경 변화에 비추어 향후 연구가 필요한 주제를 제안하는 …

    + READ MORE
    This study aims to summarize the history and contents of academic discussions on the naming of the East Sea, evaluate their achievements, and propose topics that require further research in light of new changes in the environment of toponymic uses. One of the greatest achievements of academic discussions over the past 30 years is to hav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recognize the disputes of the East Sea naming and the need to resolve them, with the development of discourses of universal human values such as social justice, peace, and human rights. As a realistic solution, discussions were conducted on the feasibility and benefits of the use of the two names together. As changes in the environment of toponymic uses, this study took specific note on the advancement of the potential of digital technology to contribute to resolving dispute names, the trend of respecting cultural values and demanding social changes, the emergence of the influential MZ generation, and the increased interest in the global environmental changes.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is summarized as elements of sustainable geographical naming that can be accepted by all generations.


    이 연구는 동해 표기에 관한 학술 논의의 역사와 내용을 정리하여 평가하고, 새로운 지명 사용의 환경 변화에 비추어 향후 연구가 필요한 주제를 제안하는 목적을 갖는다. 지난 30년의 학술 논의가 가져온 가장 큰 성과는 동해 표기 분쟁을 국제사회에 인식시키고 분쟁의 해결이 필요함을 사회정의, 평화, 인권 등 인류 보편가치의 담론으로 발전시킨 것이라 할 수 있다. 현실적 해법으로서 두 이름을 함께 쓰는 방법의 가능성과 혜택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새로운 환경의 변화로서 디지털 기술의 발전이 분쟁지명 해결에 기여할 잠재력 증진, 문화적 가치 존중과 사회변화에 대한 요구, 영향력 있는 MZ세대의 등장, 지구적 환경에 대한 관심사 증가 등에 주목하였고, 각 변화의 단면을 고려하는 연구 주제가 제안되었다. 향후 연구의 지향점은 모든 세대가 수용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지명 사용의 요소로 정리된다.

    - COLLAPSE
    31 December 2023
  • Research Article

    Analysis of the Carbon Sequestration Potential of Forest Ecosystems on Carbon Spatial Map

    탄소 공간지도에 기반한 산림생태계의 이산화탄소흡수량 잠재력 분석

    Byungyun Yang, Mose Lee, Kyung Ah Koo

    양병윤, 이모세, 구경아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arbon sequestration potential of forest ecosystems, which served as important carbon sinks, and thus to create …

    본 연구는 중요한 탄소흡수원의 역할을 하는 산림생태계 탄소흡수 잠재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탄소 공간지도 제작을 목표로 한다. 연구지역은 대한민국 전역으로, 시도 및 …

    + READ MOR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arbon sequestration potential of forest ecosystems, which served as important carbon sinks, and thus to create a carbon spatial map. The research was implemented at national scale and local scales including provinces, cities, counties, and districts. After calculating the areas of coniferous forests, non-coniferous forests, mixed forests,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and bamboo forests, we applied the carbon sink coefficient of each vegetation type and calculated the amount of carbon sink at local and national level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ntire forest land absorbed about 56,352,485t CO2/yr in 2010, 55,391,298t CO2/yr in 2015, and 52,633,417t CO2/yr in 2020, declining over time. The decline in forest area was a major reason for the decline. The changes in the species composition of each vegetation could partially contribute to the decline. We also obtained the carbon absorptions for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about 55,928 t CO2/yr) and bamboo forests (about 591,183.4 t CO2/yr). At the local government scale, we found that cities, counties, and districts including the Taebaek Mountains and Sobaek Mountains had higher carbon sinks than others, and large cities had relatively lower carbon sinks.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upgrade the calculation system in the management of the forest ecosystem as a carbon sink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in Korea. Considering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reducing carbon absorption is the reduction of forest area,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active restoration policies to restore forest area are required, and sustainable management for conservation and expansion of vegetation with high carbon absorption such as bamboo forests. In particular, in order to recover the forest ecosystem, it is urgent to develop area-based forest management plans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and watershed-based integrated forest management policy and implementation plans at the regional level.


    본 연구는 중요한 탄소흡수원의 역할을 하는 산림생태계 탄소흡수 잠재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탄소 공간지도 제작을 목표로 한다. 연구지역은 대한민국 전역으로, 시도 및 시군구의 공간 단위로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첫째, 침엽수림(Conifers), 활엽수림(Non-Conifers), 혼효림(Mixed), 상록활엽수림(Evergreen broadleaf forests), 죽림(Bamboo)의 면적을 지역별로 산정한 후, 이들 면적에 대한 연간 이산화탄소흡수량 고유계수를 적용하여 지역별 이산화탄소흡수량과 전국 단위의 흡수량을 계산하였다. 분석결과, 전체 산림지의 이산화탄소흡수량은 2010년 56,352,485t CO2/yr, 2015년 55,391,298t CO2/yr, 2020년 52,633,417t CO2/yr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면적의 감소가 주요 감소 원인으로 분석되었고, 부분적으로 기후변화 등에 따른 식생의 종조성 변화도 원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더하여, 상록활엽수림 및 죽림의 면적을 기반으로 탄소흡수량을 분석한 결과 상록활엽수는 55,928t CO2/yr, 죽림은 591,183.4t CO2/yr의 이산화탄소흡수량을 얻을 수 있었다. 지자체별 탄소흡수량 분석결과에서는 태백산맥, 소백산맥을 포함하고 있는 시군구가 다른 지역에 비해 산림지역의 이산화탄소흡수량이 많다는 것을 파악되었고, 대구광역시,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등 대도시 인접 지역은 상대적으로 이산화탄소흡수량이 적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탄소흡수원으로써 산림지의 관리에 있어서 산정체계의 고도화가 필요하다. 특히 기후변화에 따라 변화될 식생대의 분포와 식생별 수목의 종조성 변화를 고려한 임목별 연령별 흡수계수 산정 자료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상록활엽수와 죽림의 경우가 중요한 예시가 될 것이다. 또한, 탄소흡수량 감소에 가장 중요한 요인이 산림면적 감소인 것을 고려할 때, 산림지 면적의 회복을 위한 적극적인 복원 정책의 수립과 이행이 요구되며, 죽림 등 탄소흡수량이 높은 식생의 보전, 확대를 위한 지속 가능한 관리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 특히, 산림면적의 회복을 위하여 지자체 단위에서 면적 기반 산림관리와 지역 단위에서 유역기반의 통합된 산림관리 정책과 이행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 COLLAPSE
    31 December 2023
  • Research Article

    Optimal Locations for Small Senior Welfare Centers in Seoul Using Spatial Optimization Method: Multi-objective Optimization Approach Considering Spatial Efficiency and Spatial Equity

    공간 최적화 방법을 이용한 서울시 소규모 노인복지센터의 최적 입지 연구: 공간 효율성과 형평성을 고려한 다목적 최적화 접근

    Jiyun Kim, Gunhak Lee

    김지윤, 이건학

    As elderly population is increasing, the quality of their life and ‘active aging’ or ‘age-friendly cities’ for healthy and active retirement for …

    최근 노인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이들의 삶의 질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노인들의 건강하고 활기찬 노후를 고려하는 활동적 노후 및 고령친화도시의 …

    + READ MORE
    As elderly population is increasing, the quality of their life and ‘active aging’ or ‘age-friendly cities’ for healthy and active retirement for the elderly have been paid more attention. In this situation, many local governments attempt to provide various senior leisure welfare services to enjoy the rest of life in a local community. However, those services are not supplied properly in terms of the actual demand of elderly population, and there exists a spatial disparity of the provision of senior leisure welfare services. This is because there is no legal guideline on the spatial location of senior leisure welfare facilities. In this regard, this study explores a spatial mismatch between the demand and supply for senior leisure welfare facilities in Seoul, and suggests optimal locations for the senior welfare center by considering spatial efficiency and spatial equity. As a result, we presented various optimal solutions based on several location scenarios to enhance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the senior welfare center in Seoul. Also, our results can be utilized as useful materials for planning or policy-making for the future provision of elderly welfare services.


    최근 노인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이들의 삶의 질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노인들의 건강하고 활기찬 노후를 고려하는 활동적 노후 및 고령친화도시의 개념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많은 지자체는 노인들이 지역 사회에서 여생을 의미 있게 보낼 수 있도록 다양한 노인여가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실질적인 노인 수요에 부합하는 서비스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지역별로 노인여가복지 서비스의 공간적 격차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노인여가복지 입지와 관련하여 체계적인 법적 기준이 부재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의 노인여가복지 시설에 대한 수요와 공급의 공간적 불일치성을 탐색하고, 공간 효율성과 형평성을 고려한 노인복지센터의 최적 입지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연구 결과, 여러 입지 시나리오에 따라 서울시 노인복지센터의 공간적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최적 입지 대안들을 제시할 수 있었으며, 향후 노인복지 서비스 공급과 관련한 계획 및 정책에 있어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COLLAPSE
    31 December 2023
  • Research Article

    Exploration of Urban Spatial Structure through Density-based Urban Sprawl Measurement in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in South Korea

    밀도 기반의 도시 스프롤 측정 방법을 통한 도농복합시의 도시공간구조 탐색

    Asoo Choi, Jungyeop Shin

    최아수, 신정엽

    The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were established in 1995 with the implementation of local autonomy in South Korea in order to enhance the …

    도농복합시는 1995년 지방자치제가 본격 시행되면서 주민 편의를 증진하고, 도시와 농촌 지역의 균형발전을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체 54개 도농복합시를 대상으로 도시 …

    + READ MORE
    The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were established in 1995 with the implementation of local autonomy in South Korea in order to enhance the convenience of residents’ lives and to promote balanced development of both urban and rural area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urban spatial structure of 54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in South Korea in terms of urban sprawl. For it, all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were explored with population density and employment density in 2000, 2010, and 2020 by using the density-based sprawl measurement. As the analysis result, the sprawl values in population density tended to continue to increase, while the sprawl values in employment density continued to decrease with some variation in urban size in the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도농복합시는 1995년 지방자치제가 본격 시행되면서 주민 편의를 증진하고, 도시와 농촌 지역의 균형발전을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체 54개 도농복합시를 대상으로 도시 스프롤 측면에서 도시공간구조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밀도 기반의 도시 스프롤 측정 지수를 적용하여 2000년, 2010년, 2020년 도농복합시의 도시 스프롤을 인구밀도 및 고용밀도의 측면에서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도농복합시의 인구 스프롤은 전반적으로 증가한 반면, 고용 스프롤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도시 규모별 도농복합시의 도시 스프롤은 차별화되어 진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COLLAPSE
    31 December 2023
  • Research Articl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 Income and Infrastructure Access

    가구 소득과 인프라 접근성의 관계 분석: 서울시를 대상으로

    Yewon Jeong, Seong-Yun Hong

    정예원, 홍성연

    After industrialization in the 1960s, Korean society experienced rapid modernization and compressed growth in a wide range of areas such as economy …

    우리 사회는 1960년대 산업화 이후 경제, 정치 등 다양한 영역에서 급속한 근대화와 압축 성장을 이루었다. 하지만 이러한 성장 속에서 계층 간 소득 …

    + READ MORE
    After industrialization in the 1960s, Korean society experienced rapid modernization and compressed growth in a wide range of areas such as economy and politics for a short period of time. However, in this trend, the income gap and polarization between classes may deepen, causing spatial inequality. This study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level and infrastructure accessibility in order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spatial inequality in the income class. Using big data,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level and infrastructure accessibility was quantitatively analyzed using income level data and infrastructure data including accurate location. The spatial scope was set to Seoul City, and the temporal scope was set to 2017. The analysis used variables affecting infrastructure accessibility, including income level, population density, population, CBD, and detailed facility classification variables, and infrastructure facilities were largely classified into education, transportation, culture/leisure, health, and sports facilitie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infrastructure accessibility according to income level, and a high correlation was derived in all infrastructure areas except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confirming that a significant relationship existed between income level and infrastructure accessibility. In addition, the infrastructure sector that responds most sensitively to changes in income level and the difference in infrastructure accessibility according to income level were identified.


    우리 사회는 1960년대 산업화 이후 경제, 정치 등 다양한 영역에서 급속한 근대화와 압축 성장을 이루었다. 하지만 이러한 성장 속에서 계층 간 소득 격차와 양극화가 심화되는 등 여러 문제가 발생했고, 이는 국토 전체적으로는 물론 도시 내에서도 지역 간 불균형 발전을 야기했다. 본 연구는 소득 수준이 지역 간 불균형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가구별 연평균 소득과 인프라 접근성 간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연구에서는 서울시 소득 수준 데이터와 인프라 데이터를 사용하여 소득 수준과 인프라 접근성 간 관계를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서울시이며, 시간적 범위는 2017년으로 설정했다. 인프라 시설은 교육, 교통, 문화・여가, 보건, 체육 관련 시설로 구분했으며, 소득 수준과 함께 인구 밀도, 인구 수, 중심업무지구 여부 등이 접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소득 수준에 따라 인프라 접근성에 차이가 나타난 것을 확인했고, 교통 인프라를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가 도출되었다. 또한, 소득 수준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분야와 소득 수준에 따라 나타나는 인프라 접근성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 COLLAPSE
    31 December 2023
  • 단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