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3 Vol.23, Issue 3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1 December 2023. pp. 55-67
Abstract
The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were established in 1995 with the implementation of local autonomy in South Korea in order to enhance the convenience of residents’ lives and to promote balanced development of both urban and rural area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urban spatial structure of 54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in South Korea in terms of urban sprawl. For it, all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were explored with population density and employment density in 2000, 2010, and 2020 by using the density-based sprawl measurement. As the analysis result, the sprawl values in population density tended to continue to increase, while the sprawl values in employment density continued to decrease with some variation in urban size in the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도농복합시는 1995년 지방자치제가 본격 시행되면서 주민 편의를 증진하고, 도시와 농촌 지역의 균형발전을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체 54개 도농복합시를 대상으로 도시 스프롤 측면에서 도시공간구조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밀도 기반의 도시 스프롤 측정 지수를 적용하여 2000년, 2010년, 2020년 도농복합시의 도시 스프롤을 인구밀도 및 고용밀도의 측면에서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도농복합시의 인구 스프롤은 전반적으로 증가한 반면, 고용 스프롤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도시 규모별 도농복합시의 도시 스프롤은 차별화되어 진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References
  1. 강창숙, 2017, “청주시 도농 통합 과정 및 지명 선정에서 나타난 주민인식,” 문화역사지리, 29(4), 38-58. 10.29349/JCHG.2017.29.4.38
  2. 권진우・옥진아・김희연・박성호, 2020, 「도농복합시 고령화 대응 전략: 안성시를 중심으로」, 경기연구원.
  3. 김선기, 1996, “도농복합시의 도시계획체제 정립,” 지방행정연구, 11(1), 1117-1141.
  4. 김은설, 2019, 「도농복합시에서 시작하는, 육아친화농어촌 만들기」, 육아정책연구소.
  5. 김흥관, 2006, “GIS를 활용한 부산시공간구조변천에 관한 연구: 인구, 고용, 지가분포를 중심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4), 204-214.
  6. 노희순・이창무・최막중, 2004, “도시공간구조의 다핵화 과정에 관한 연구: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39(2), 47-61.
  7. 류나영・신정엽, 2020, “광역도시권의 스프롤 변화 양상: 광역도시권의 설정과 밀도 기반의 인구 및 고용 스프롤 측정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학회지, 9(2), 395-409. 10.25202/JAKG.9.2.11
  8. 박경훈・정성관・최원명, 2000, “도농통합시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지역특성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3(2), 37-47.
  9. 박종관・조석주, 2001, “시・군 통합에 의한 행정구역개편 정책의 성과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 사회와 행정 연구, 12(3), 57-77.
  10. 서형주・박인권, 2022, “도농통합에 따른 도시-농촌 간 인구이동의 중심성 변화: 강원도 도농통합시 사회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4(3), 1-26. 10.22885/KRDA.2022.34.3.1
  11. 손승호, 2011, “도농복합 안성시의 인구규모와 인구속성의 변화,”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4(1), 81-94. 10.1007/s11618-011-0229-9
  12. 손승호, 2013, “인구규모의 변화를 통해 본 도농통합시의 차별적 성장,”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6(1), 85-98.
  13. 손승호, 2015, “경기도 도농복합시의 경제공간 변화와 유형 분류,”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8(1), 45-59.
  14. 신정엽, 2021, “도시 스프롤의 개념과 측정 방법론에 대한 이론적 논의,” 지리교육논집, 65, 41-62.
  15. 신정엽・김진영, 2012, “도시 스프롤에 대한 논의 재조명과 공간 분석 방법론에 토대한 도시 스프롤 측정 연구: 수도권을 사례로," 서울법학, 19(3), 317-354. 10.15821/slr.2012.19.3.009
  16. 엄현태・우명제, 2015, “도시스프롤 현상이 중심도시 쇠퇴에 미치는 영향과 도시재생에 대한 함의: 수도권을 대상으로,” 국토계획, 50(3), 73-89. 10.17208/jkpa.2015.04.50.3.73
  17. 이형상, 2020, “인구성장형 지방중도시의 도시공간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아산시를 사례로,” 한국지리학회지, 9(2), 377-393. 10.25202/JAKG.9.2.10
  18. 임석회, 2019, “지방소도시의 인구감소 및 성장과 쇠퇴의 특성,” 대한지리학회지, 54(3), 365-386.
  19. 임석회・송주연, 2020, “마산・창원・진해의 행정구역 통합 효과: 도시성장과 균형발전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55(3), 289-312. 10.22776/kgs.2020.55.3.289
  20. 임수진・김감영, 2017, “밀도-공간구조 기반 도시 스프롤 측정치 개발,” 한국지도학회지, 17(1), 87-101. 10.16879/jkca.2017.17.1.087
  21. 전명진, 1995, “다핵도시공간구조하에서의 통근형태: 서울대도시권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31(2), 223-236.
  22. 정기방・강정운, 2006, “한국 도농복합정책의 규모경제 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8(4), 91-112.
  23. 조석주・장은주・박종관・윤석범, 2000, 「「도농복합형태의 시」 제도분석과 발전방향」,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4. 최아수, 2023, “도농복합시 공간구조의 시공간 역동성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5. 최종철・이왕건, 1998, 「도농통합시의 도시계획제도 연구」, 국토연구원.
  26. Cutsinger, J., Galster, G., Wolman, H., Hanson, R., and Towns, D., 2005, Verifying the multi-dimensional nature of metropolitan land use: Advancing the understanding and measurement of sprawl, Journal of Urban Affairs, 27(3), 235-259. 10.1111/j.0735-2166.2005.00235.x
  27. Ewing, R., Pendall, R., and Chen, D., 2002, Measuring Sprawl and Its Impact, Washington, D.C.: Smart Growth America.
  28. Fallah, B., Partridge, M., and Olfert, M., 2011, Urban sprawl and productivity: Evidence from US metropolitan areas, Papers in Regional Science, 90(3), 451-472. 10.1111/j.1435-5957.2010.00330.x
  29. Fallah, B., Partridge, M., and Olfert, M., 2012, Uncertain economic growth and sprawl: Evidence from a stochastic growth approach, The Annals of Regional Science, 49(3), 589-617. 10.1007/s00168-011-0466-0
  30. Frenkel, A. and Ashkenazi, M., 2008, Measuring urban sprawl: How can we deal with it?, Environment and Planning B, 35(1), 56-79. 10.1068/b32155
  31. Fulton, W., Pendall, R., Nguyen, M., and Harrison, A., 2001, Who Sprawls Most? How Growth Patterns Differ Across the U.S., Washington, D.C.: The Brookings Institution.
  32. Galster, G., Hanson, R., Ratcliffe, M., Wolman, H., Coleman, S., and Freihage, J., 2001, Wrestling sprawl to the ground: Defining and measuring an elusive concept, Housing Policy Debate, 12(4), 681-717. 10.1080/10511482.2001.9521426
  33. Lopez, R. and Hynes, H., 2003, Sprawl in the 1990s: Measurement, distribution, and trends, Urban Affairs Review, 38(3), 325-355. 10.1177/107808740223880516990927PMC1570399
  34. KOSIS 국가통계포털, https://kosis.kr
  35. SGIS 통계지리정보서비스, https://sgis.kostat.go.kr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 Publisher(Ko) :한국지도학회
  • Journal Title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 Journal Title(Ko) :한국지도학회지
  • Volume : 23
  • No :3
  • Pages :55-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