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4 Vol.24, Issue 2

Research Article

31 August 2024. pp. 1~22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comprehensive analysis on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care services, in relation to the life cycle of children, and also to identify the spatial pattern of blind spots, which can be conceptualized as ‘care deserts’. To this end, we first reviewed previous studies including theoretical discussions on the subject matter. Then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care services across different life stages is measured and analyzed by utilizing the Two-Step Floating Catchment Area (2SFCA) method. There are three important findings from the empirical analysis. First, the spatial accessibility to care services is found to be most limited during middle school years. Second, across all the life stages accessibility in urban areas is generally higher than that in rural areas. Third, care deserts are shown to exhibit somewhat consistent spatial patterns across all the life cycle stages. These findings are hopefully expected to offer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for the future improvement in the provisioning of care services.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아동 돌봄서비스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의 확대를 통해 사각지대를 해소하고자 노력해 왔지만, 공간적 관점은 부족하였다.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아동의 생애주기를 고려하여 돌봄서비스들의 공간적 접근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돌봄 사막과 같은 사각지대의 공간적 패턴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아동 돌봄서비스의 공간적 접근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이어 2SFCA를 이용해 생애주기에 따른 돌봄서비스의 공간적 접근성을 측정하고, 이를 종합해 돌봄서비스의 사각지대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경상북도의 시군을 사례로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돌봄 사각지대는 크게 거리와 공급의 부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두 경우 모두 중학생 돌봄시설에 대하여 가장 접근성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든 시기에 있어서 도시지역이 농촌지역보다 접근성이 우수하였고, 읍・면 지역의 돌봄의 사각지대가 두드러졌다. 셋째, 접근성이 취약한 지역, 이른바 돌봄 사막은 영유아 시설에서 중학생시설에 이르기까지 공간적으로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생애주기를 고려하여 아동 돌봄서비스의 사각지대가 공간적 패턴을 이루고 있음을 파악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돌봄서비스 제공에 있어 중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References
  1. 강지원・최혜진・김성아・이지혜・노현주・조동훈・유해미・이길재・이희현, 2022, 「보육돌봄체계 중장기 개편 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9, 「지역의 기초생활인프라 공급 현황 자료 및 분석 안내서」.
  3. 경북여성정책개발원, 2018, 「경상북도 지역아동센터의 지역사회 연계 활성화 방안」.
  4. 경북여성정책개발원, 2019, 「경상북도 마을기반 방과후 돌봄서비스 효율성 제고 방안」.
  5. 경북여성정책개발원, 2021, 「경상북도 마을돌봄지원센터(가칭) 운영 방안 연구」.
  6. 경상북도, 2024, 보도자료: 경북형 새늘봄으로 ‘온종일 완전 돌봄’ 완성.
  7. 관계부처합동, 2018, 「온종일 돌봄체계 구축・운영 실행계획(안)」.
  8. 국토교통부, 2018, 국토교통부 공고 제2018-1790호.
  9. 국토연구원, 2018, 「생활인프라 기준 도입 및 활용방안 연구」, 국토교통부.
  10. 권순정, 2022,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학교교육과 돌봄에 대한 연구: 중학교를 중심으로」,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11. 권은경・윤철재, 2024, “아동돌봄시설의 공간적 분포에 관한 연구: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청소년시설환경, 22(1), 1-11. https://doi.org/10.55063/KIYFE.2024.22.1.1 10.55063/KIYFE.2024.22.1.1
  12. 김감영・조대헌・이건학, 2020, 「경상북도 생활 SOC 최적지점 분석용역」 최종보고서,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13. 김경민・홍슬희, 2023, “돌봄 사각지대 아동・청소년을 위한 지역사회 돌봄 공간 형성 및 운영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경기 아동・청소년 전용식당 A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34(4), 217-250. https://doi.org/10.14816/sky.2023.34.4.217 10.14816/sky.2023.34.4.217
  14. 김규식, 2015, “공공보육서비스 이용 기회의 공간적 형평성 평가: 2009년과 2014년의 서울시 국공립어린이집을 대상으로,” 서울도시연구, 17(1), 45-64. https://doi.org/10.23129/seouls.17.1.201603.45 10.23129/seouls.17.1.201603.45
  15. 김예건, 2023, “돌봄분야 생활SOC의 취약지역 진단 및 복합화 방안: 청주시 흥덕구를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김윤수・류호영, 2012, “사회적 돌봄서비스 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보건사회연구, 32(3), 298-326. https://doi.org/10.15709/hswr.2012.32.3.298 10.15709/hswr.2012.32.3.298
  17. 김은희, 2023, 「수요자 중심의 경기도 아동돌봄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정책방안 모색」, 경기도여성가족재단.
  18. 김종근, 2023, “임신・출산 인프라 접근성 취약지역 분석,” 한국지도학회지, 23(1), 53-65. https://doi.org/10.16879/jkca.2023.23.1.053 10.16879/jkca.2023.23.1.053
  19. 김지윤・이건학, 2023, “공간 최적화 방법을 이용한 서울시 소규모 노인복지센터의 최적 입지 연구: 공간 효율성과 형평성을 고려한 다목적 최적화 접근,” 한국지도학회지, 23(3), 33-53. https://doi.org/10.16879/jkca.2023.23.3.033 10.16879/jkca.2023.23.3.033
  20. 김진영, 2014, “GIS를 활용한 천안시 국공립 어린이집 최적지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남승연, 2021, 경기도 초등 방과후돌봄 수요공급 분석,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이슈분석 제206호(21-20).
  22.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21, 「인구감소시대 지역 상생발전을 위한 공간모델」, 국토교통부.
  23. 박지영, 2018, “온종일 돌봄체계 구축・운영 현황 및 계획,” 육아정책포럼, 58, 32-38.
  24. 보건복지부, 2023a, 「2022년 12월말 기준 전국 지역아동센터 통계조사 보고서」.
  25. 보건복지부, 2023b, 「2023 학교돌봄터 사업안내」.
  26. 서문희, 2002, “보육시설 설치의 지역 차이 및 형평성 제고 방안,” 보건복지포럼, 66, 89-98.
  27. 서원석・강호제・김성연・양광식, 2009, “GIS를 활용한 영유아보육시설의 공간적 입지적정성 평가,”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1(4), 265-284.
  28. 석재은, 2009, “돌봄서비스의 사회화와 공공성 확보를 위한 정책과제,” 월간 복지동향, 123, 28-32.
  29. 손선옥・김태연, 2023, “초등 방과후 돌봄서비스 이용 경험과 욕구에 관한 질적 연구,” 사회과학연구,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34(2), 55-76. 10.16881/jss.2023.04.34.2.55
  30. 여성가족부, 2024, 보도자료: 여성가족부, 지자체와 ‘아이돌봄서비스’ 확대방안 논의.
  31. 유비・김지민, 2022, “아동 내방 돌봄서비스 시설 물리적 접근성 연구: 취약주거지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53(2), 177-205. https://doi.org/10.16999/kasws.2022.53.2.177 10.16999/kasws.2022.53.2.177
  32. 이민주・백일순, 2023, “지방소멸시대의 도시축소: 계량서지학적 방법론을 활용한 국내외 도시축소 연구동향 분석,”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6(2), 17-35. https://doi.org/10.21189/JKUGS.26.2.2 10.21189/JKUGS.26.2.2
  33. 이상일, 2008, “거주지 분화에 대한 공간통계학적 접근 (II): 국지적 공간 분리성 측도를 이용한 탐색적 공간데이터 분석,” 대한지리학회지, 43(1), 134-153.
  34. 이소영, 조대헌, 전창우, 주뢰, 2016, “국회의원 선거 결과의 공간 패턴 변화 분석: 19대 및 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지도학회지, 16(3), 29-47. 10.16879/jkca.2016.16.3.029
  35. 이소영, 2020, “교육지리학 관점에 기반한 네이버후드 효과 연구: 공간적 자기상관을 고려한 다수준 모형의 활용,”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6. 이선미, 2016, “돌봄의 특성과 돌봄 공공성의 요건,” 사회와 이론, 29, 223-260
  37. 이현주, 1998, “사회복지이용시설 접근성에 대한 평가,” 사회복지연구, 7(1), 91-114.
  38. 이혜숙・문진영, 2022, 「위드 코로나 시대 학령기 아동돌봄 실태와 지원방안」, 서울연구원.
  39. 이화정・이상일・조대헌, 2013, “거주지 이동을 통한 학교 선택의 공간성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48(6), 897-913.
  40. 이희현・김효정・최형주・김은경・손호성, 2021, 「온종일 돌봄체계 구축의 성과 및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41. 임현정, 2010, “국공립 보육시설의 접근성 분석을 통한 보육서비스 범위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 석사논문.
  42. 장문현・안영진, 2023, “인구감소지역의 기초생활인프라 입지 적정성 우선순위 평가 연구: 융복합 돌봄시설을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9(2), 161-175. https://doi.org/10.26863/JKARG.2023.5.29.2.161 10.26863/JKARG.2023.5.29.2.161
  43. 정대운・유일한, 2014, “생활밀착형 SOC 투자의 중요성 및 확대방향,”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15(6), 48-52.
  44. 조대헌, 2004, “공간적 형평성(spatial equity)의 평가 방법에 대한 연구: 도시 공공서비스에의 접근성을 중심으로,” 지리교육논집, 48, 100-120.
  45. 조대헌・신정엽・김감영・이건학, 2010, “농촌지역 공공 보건서비스에 대한 공간적 접근성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6(2), 137-153.
  46. 조대헌, 2014, “서울의 고령일인가구 분포와 대중교통 접근성,”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7(2), 119-136.
  47. 조대헌, 2021, “우리나라 도시축소의 인구 요인 및 특성 분석,”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4(1), 29-44. https://doi.org/10.21189/JKUGS.26.3.4 10.21189/JKUGS.26.3.4
  48. 조희은, 2019, “생활SOC의 범위 및 시설의 유형별 지역별 특성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20(5), 33-52. https://doi.org/10.38195/judik.2019.10.20.5.33 10.38195/judik.2019.10.20.5.33
  49. 최아라, 2020, “코로나19, 아동돌봄 쟁점과 과제,” 인문사회 21, 11(4), 1379-1390. 10.22143/HSS21.11.4.97
  50. 최현수・오미애・장동익・양미선・천미경, 2016, 「공간정보 연계를 통한 보육서비스 인프라 적정성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51. 홍진주・정세미・김은정・김현진, 2021, “지역기반의 초등돌봄사업의 발전방안 모색을 위한 연구: 초등돌봄 네트워크 형성과 특징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 23(2), 105-139. https://doi.org/10.22944/kswa.2021.23.2.005
  52. 홍현균・공정승, 2022, 「아동돌봄서비스 현황과 전망」, 한국고용정보원. 10.22944/kswa.2021.23.2.005
  53. Almeida, V., Hoffmann, C., Königs, S., Moreno-Monroy, A., Salazar-Lozada, M., and Terrero-Dávila, J., 2024, Geographic Inequalities in Accessibility of Essential Services, IZA Institute of Labor Economics. 10.2139/ssrn.4813454
  54. Beach, B.A., 1995, What do we know about rural child care? An overview of issues, Journal of Research in Rural Education, 11(2), 114-120.
  55. Chermak, G.D., 1990, A global perspective on disability: A review of efforts to increase access and advance social integration for disabled persons, International Disability Studies, 12(3), 123-127. https://doi.org/10.3109/03790799009166266 10.3109/037907990091662662151390
  56. Davis, E.E., Lee, W.F., and Sojourner, A., 2019, Family-centered measures of access to early care and educatio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47, 472-486. https://doi.org/10.1016/j.ecresq.2018.08.001 10.1016/j.ecresq.2018.08.001
  57. Fransen, K., Neutens, T., de Maeyer, P., and Deruyter, G., 2015, A commuter‐based two‐step floating catchment area method for measuring spatial accessibility of daycare centres, Health and Place, 32, 65-73. https://doi.org/10.1016/j.healthplace.2015.01.002 10.1016/j.healthplace.2015.01.00225638791
  58. Hashikawa, A.N., Sells, J.M., DeJonge, P.M., Alkon, A., Martin, E.T., and Shope, T.R., 2020, Child care in the time of coronavirus disease-19: A period of challenge and opportunity, The Journal of Pediatrics, 225, 239-245. https://doi.org/10.1016/j.jpeds.2020.07.04 10.1016/j.jpeds.2020.07.04232687914PMC7366077
  59. Herbst, C.M. and Tekin, E., 2012, The geographic accessibility of child care subsidies and evidence on the impact of subsidy receipt on childhood obesity, Journal of Urban Economics, 71(1), 37-52. https://doi.org/10.1016/j.jue.2011.09.003 10.1016/j.jue.2011.09.003
  60. Jessen-Howard, S., Malik, R., Workman, S., and Hamm, K., 2018, Understanding Infant and Toddler Child Care Deserts, Center for American Progress.
  61. Langford, M., Higgs, G., and Dallimore, D.J., 2019, Investigating spatial variations in access to childcare provision using network‐bas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models, Social Policy & Administration, 53(5), 661-677. https://doi.org/10.1111/spol.12419 10.1111/spol.12419
  62. Lee, G., 2008, Developing Spatial Accessibility Measure of Urban Residential Area for Broadband Service: Operational Effects and Spatial Disparity, Journal of the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11(1), 101-113.
  63. Lee, S.-I., 2001a, Developing a bivariate spatial associationmeasure: An integration of Pearson’s r and Moran’s I, Journal of Geographical Systems, 3(4), 369-385. 10.1007/s101090100064
  64. Lee, S.-I., 2001b, Spatial association measures for an ESDA-GIS Framework: Developments, significance tests, and applications to spatio-temporal income dynamics of U.S. labor market areas, 1969-1999, Ph.D. Dissert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
  65. Luo, W. and Qi, Y., 2009, An enhanced two-step floating catchment area (E2SFCA) method for measuring spatial accessibility to primary care physicians, Health & Place, 15(4), 1100-1107. https://doi.org/10.1016/j.healthplace.2009.06.002 10.1016/j.healthplace.2009.06.00219576837
  66. Luo, W. and Wang, F., 2003, Measures of spatial accessibility to health care in a GIS environment: synthesis and a case study in the Chicago Region, Environment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30(6), 865-884. https://doi.org/10.1068/b29120 10.1068/b2912034188345PMC8238135
  67. Macdonald, D., 2018, Child Care Deserts in Canada, Canadian Centre for Policy Alternatives.
  68. Malik, R., Hamm, K., Schochet, L., Novoa, C., Workman, S., and Jessen-Howard, S., 2018, America’s Child Care Deserts in 2018, Center for American Progress.
  69. Sipple, J.W., McCabe, L.A., and Casto, H.G., 2020, Child care deserts in New York State: Prekindergarten implementation and community factors related to the capacity to care for infants and toddle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51, 167-177. https://doi.org/10.1016/j.ecresq.2019.10.007 10.1016/j.ecresq.2019.10.007
  70. Van Ham, M. and Mulder, C.H., 2005, Geographical access to childcare and mothers’ labour-force participation, Tijdschrift voor Economische en Sociale Geografie, 96(1), 63-74. https://doi.org/10.1111/j.1467-9663.2005.00439.x 10.1111/j.1467-9663.2005.00439.x
  71. Wan, N., Zou, B., and Sternberg, T., 2012, A three-step floating catchment area method for analyzing spatial access to health service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26(6), 1073-1089. https://doi.org/10.1080/13658816.2011.624987 10.1080/13658816.2011.624987
  72. 국토정보플랫폼, https://map.ngii.go.kr
  73. 늘봄・방과후중앙지원포털, https://www.afterschool.go.kr/
  74. 데일리대구경북뉴스, 2024년 3월 15일, “경북교육청, 2024학년도 엄마품 돌봄유치원 확대 운영”
  75. 매일신문, 2023년 5월 2일,“‘과밀학급’경북도청 신도시, 총・중학교 신설 확정”
  76. 방과후 청소년아카데미 홈페이지, https://www.youth.go.kr/yaca/about/orgSearch.do
  77. 아동권리보장원 다함께돌봄센터, https://www.ncrc.or.kr/ncrc/cm/cntnts/cntntsView.do?mi=1105&cntntsId=1044
  78. 아동권리보장원 지역아동센터, https://www.ncrc.or.kr/ncrc/cm/cntnts/cntntsView.do?mi=1104&cntntsId=1043
  79. 유치원알리미, https://e-childschoolinfo.moe.go.kr/
  80. 정책참고자료, 2018, 온종일돌봄체계 구축・운영계획(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홈페이지 https://www.betterfuture.go.kr/front/notificationSpace/pressReleaseDetail.do;jsessionid=84F59825BACD3258A586F1B21943D077.node20?articleId=18)
  81.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https://www.kyci.or.kr/userSite/Local_shelter/list.asp?basicNum=1
  82. 호명읍 홈페이지, https://www.ycg.kr/open.content/homyeong/introduction/history/
  83. U.S. CHILD CARE DESERTS, https://childcaredeserts.org
  84. ViewT, https://viewt.ktdb.go.kr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 Publisher(Ko) :한국지도학회
  • Journal Title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 Journal Title(Ko) :한국지도학회지
  • Volume : 24
  • No :2
  • Pages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