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1 Vol.21, Issue 2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1 August 2021. pp. 117-128
Abstract
Total dependency ratios (TDRs) are tabulated at sub-national levels based on the population projection that employs a more spatially disaggregated spatial unit than metropolitan and provincial regions in South Korea. The national-level TDR shows 48.63 in 2020 and 141.22 in 2050, and these are larger than the government’s forecast. By 2040, 26 regions out of 37 will show TDRs above 100; by 2050, Sejong is the only region that shows a TDR lower than 100. North Gyeongsang East shows 177.70, which is the highest. Between 2020 and 2050, Incheon shows the most rapid growth in TDR by 259.3%, while South Jeolla South shows the slowest growth by 73.4%. In sum, although the exact comparison is limited, the research presents more rapidly increasing TDRs than the forecast of Statistics Korea, hinting that South Korea will encounter the reality that it has never experienced in the past earlier than the government’s expectation.
본 연구는 전국 37개 생활권의 미래 총부양비를 전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총부양비가 100을 초과하면 부양자보다 피부양자가 많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전국 평균은 2020년 48.6명에서 2050년 141.2명으로 증가하며, 같은 해 경북(동) 권역의 총부양비가 177.7명으로 가장 높고 세종권은 81.6명으로 가장 낮은 전망치를 보인다. 2040년에는 37개 생활권 중 26개 권역에서, 2050년에는 세종특별자치시를 제외한 모든 권역에서 총부양비가 100을 초과하는 것으로 전망되었다. 30년(2020~2050년)에 걸쳐 인천권 총부양비 증가속도가 259.3%로 가장 빠를 것으로 나타났고, 전남(남) 권역은 73.4%로 가장 느릴 것으로 전망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총부양비를 통계청에서 전망한 총부양비와 직접 비교하는 데 있어서는 제약이 있으나, 통계청 중위 시나리오에 비해 총부양비가 전국적으로 더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이는 한국 사회가 전례 없이 높은 총부양비에 따른 사회경제적 어려움에 더욱 일찍 직면하게 될 것임을 의미한다.
References
  1. 고문익・김걸, 2021, "한국 지방소멸위험의 공간 분포 변화 분석," 한국지도학회지, 21(1), 65-74. 10.16879/jkca.2021.21.1.065
  2. 고우림・조영태・정명구・원성호, 2020, "국가 발전에 적합한 인구 특성 : 아시아 국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13(1), 25-46. 10.22417/DPSS.2020.04.13.1.25
  3. 김기환・김오석, 2019, "시계열 분석을 활용한 한・중 월경성 미세먼지 연구," 한국지리학회지, 8(1), 33-46. 10.25202/JAKG.8.1.3
  4. 김승권, 2006, "사회복지적 관점에서 본 한국의 적정인구," 한국인구학, 29(1), 241-268.
  5. 김영호, 2012, "공간데이터의 시공간적 평가방법에 대한 고찰," 한국지리학회지, 1(2), 193-204. 10.25202/JAKG.1.2.2
  6. 김지윤・김오석, 2021, "초・중・고 학령인구 감소에 의한 학교 통폐합 잠재성,"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7(1), 55-69. 10.26863/JKARG.2021.2.27.1.55
  7. 김오석・안소은・윤정호・김기환・김걸, 2016, 「기후변화 적응정책 지원을 위한 토지이용통합모델 개발(II)」,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8. 김오석・안소은・윤정호・빈슬지・김기환, 2015, 「기후변화 적응정책 지원을 위한 토지이용통합모델 개발(I)」,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9. 김오석・윤정호, 2015, "현 상태 유지 시나리오를 이용한 토지피복 변화 예측,"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8(3), 121-135.
  10. 김오석・은정・이영준, 2016, "산업단지 개발로 인한 산림훼손 시・공간 경향 분석: 경상북도와 경상남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9(3), 103-111. 10.21189/JKUGS.19.3.8
  11. 김오석・이영준, 2019, "해안손 훼손으로 본 연안지역에 누적된 환경영향 현황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5(1), 163-177. 10.26863/JKARG.2019.02.25.1.163
  12. 김오석・한기주・김걸, 2016, "광역지자체별 기후변화 적응역량 평가를 위한 지수분석," 한국지도학회지, 16(3), 115-127. 10.16879/jkca.2016.16.3.115
  13. 김정민, 2019, 「압축적 근대화와 저출산 문제: 환경 및 전통지식의 관점」, 서울연구원.
  14. 김정희, 2008, "고령화시대의 수도권 인구구성 변화 예측,"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1(1), 31-42.
  15. 김지수・김오석, 2019, "저출산・고령화를 고려한 서울시 구별 수해노출인구 전망,"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2(2), 159-171. 10.21189/JKUGS.22.2.12
  16. 김태헌・정환영, 1999, "시도별 장래 인구추계(1995~2020)," 한국인구학, 22(1), 175-215.
  17. 김태헌, 2001, "한국 농촌사회의 변천: 농촌 인구와 가족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24(1), 5-40.
  18. 김형수・권이경, 2013, "한국 노인자살률과 사회ㆍ경제적 요인의 관련성 - 1990년~2010년 변화 추이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6), 236-245. 10.5392/JKCA.2013.13.06.236
  19. 민경택・김명은, 2014, "산촌지역 인구변동의 특성 분석과 장래 추계," 한국임학회지, 103(4), 670-678. 10.14578/jkfs.2014.103.4.670
  20. 박규택, 2020, "대구광역시 거주지별 외국인 인구의 변화와 산업종사자 간의 관계, 2000~2015년,"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6(4), 382-394. 10.26863/JKARG.2020.11.26.4.382
  21. 박지희, 2018, "공간통계기법을 활용한 학령인구의 순이동 추정," 한국지도학회지, 18(3), 77-90. 10.16879/jkca.2018.18.3.077
  22. 심재희・채종훈, 2004, "한국사회의 고령화와 지방재정에 관한 실증분석 - 광주・전남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동북아논총, 31, 261-283.
  23. 심창섭・김오석・한지현・송슬기・나건수・김기환, 2019, 「저출산・고령화를 고려한 폭염 노출위험인구 전망 및 지역별 대응전략」,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4. 이상림・조영태, 2005, "H-P 기법을 이용한 기초자치단체의 장래인구추계," 한국인구학, 28(1), 149-172.
  25. 이상일・조대헌, 2012, "지역간 인구이동의 예측을 통한 우리나라 시도별 장래 인구 추계: 다지역 코호트-요인법의 적용," 대한지리학회지, 47(1), 98-120.
  26. 이선미・송해련, 2018, "새로운 부양지표, 실질 총부양비(Effective TDR)의 제안과 적용: 출산율, 이주자 유입 정년연장의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41(2), 91-116. 10.31693/KJPS.2018.06.41.2.91
  27. 이성용・이정환, 2011, "인구변천과 인구고령화," 국제지역연구, 15(1), 549-570.
  28. 이정록, 2020, "인구과소지역의 인구이동과 인구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전남 고흥군을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6(2), 172-184. 10.26863/JKARG.2020.5.26.2.172
  29. 이중희, 2007, "중국의 인구 정책과 고령화의 추세, 원인 및 특성," 중국학, 29, 293-318.
  30. 이철우, 1996, "한국사회의 고령화와 노인복지정책," 한국사회학, 30(겨울), 779-807.
  31. 임석회, 2016, "대도시 도심부의 인구변동과 쇠퇴 양상의 변화 -도심쇠퇴의 이완과 도심회귀 증후의 검토-,"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2(3), 599-614.
  32. 장주연・배재수・설아라, 2019, "우리나라 산촌의 인구 추이와 미래 전망," 농촌계획, 25(4), 99-107.
  33. 전광희, 2006, "인구학적 관점에서 본 적정인구의 추계," 한국인구학, 29(1), 209-239.
  34. 전광희, 2013, "유엔 장래인구추계 2010년 개정판의 특징: 방법론과 추계결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4(4), 105-134.
  35. 조대헌・이상일, 2011, "이지역 코호트-요인법을 이용한 부산광역시 장래 인구 추계," 대한지리학회지, 46(2), 212-232.
  36. 조대헌, 2020, "중소도시의 내부 인구이동과 주택시장 간의 연관성 분석: 강릉시 사례 연구," 한국지도학회지, 20(2), 71-85. 10.16879/jkca.2020.20.2.071
  37.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2020, 2020년 3월 및 1분기 인구동향 참고자료.
  38. 통계청, 2007, 「도시권 획정」.
  39. 통계청, 2017, 장래인구추계 시도편: 2015~2045년.
  40. 통계청, 2019a, 장래인구특별추계: 2017~2067년.
  41. 통계청, 2019b, 장래인구특별추계(시도편): 2017~2047년.
  42. 통계청, 2021, 2020년 인구동향조사 출생・사망통계 잠정 결과.
  43. 통계청, 2020.7.27, 시군구 장래인구추계 프로그램(http:// spp.kostat.go.kr/).
  44. 한주성, 2018, "지방소멸 도쿄 일극 집중이 불러온 인구 급감,"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4(1), 251-253. 10.26863/JKARG.2018.02.24.1.251
  45. Bartram L., and Roe, B., 2005, Depedency ratios: Useful policy-making tools?, Geriatrics and Gerontology International, 5(4), 224-228. 10.1111/j.1447-0594.2005.00311.x
  46. Basten, S., 2013, Redefining "old age" and "dependency" in East Asia: Is "prospective aging" a more helpful concept?, Asian Social Work and Policy Review, 7, 242-248. 10.1111/aswp.12015
  47. Minh, K., 2009, Dynamic demographics and economic growth in Vietnam, Journal of the Asia Pacific Economy, 14(4), 389-398. 10.1080/13547860903169365
  48. Kim, O.S., 2013, In pursuit of low carbon cities: Understanding limitations of ICLEI's international local government greenhouse gas emissions protocol,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8(1), 151-165.
  49. Kim, H., Park, Y., and Lee, H., 2013, Empirical dynamics of regional aged dependency ratio in South Korea, Journal of Economic Theory and Econometrics, 24(2), 163-192.
  50. Kim, K.W., and Kim, O.S., 2020, Super aging in South Korea unstoppable but mitigatable: a sub-national scale population, Spatial Demography, 8(2), 155-173. 10.1007/s40980-020-00061-8 34222615 PMC8248505
  51. Lee, S.B., 2007, Population projections for local governments in korea: Based on hamilton-perry & auto reg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18(4), 955-961.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 Publisher(Ko) :한국지도학회
  • Journal Title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 Journal Title(Ko) :한국지도학회지
  • Volume : 21
  • No :2
  • Pages :117-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