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19 Vol.19, Issue 2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1 August 2019. pp. 53~63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ractical evidences that thematic maps that do not comply with the thematic mapping principles can make it difficult for students to intuitively understand geographical facts and may even lead to inaccurate understanding of geographical facts. For thi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evaluate the understanding of geographical facts by using thematic maps in secondary school textbooks, which did not comply with thematic mapping principles.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showed difficulty in intuitive interpretation of data in thematic maps with color arrangements that do not follow data characteristics. Students also showed a tendency to interpret data in the light of contextual knowledge or personal experience rather than maps themselves. In addition, there is a possibility of incorrectly understanding the data due to color arrangements which does not f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Second, in the case of the thematic map which does not reflect the critical value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data in data classification, the students have difficulty in intuitively interpreting the data by attempting additional analysis. Finally, in the case of a thematic map displaying totals, the area difference of the basic spatial units in which the data are aggregated greatly influences the interpretation of the data, thereby causing the students to interpret the data represented on the map differently from the actual.
본 연구의 목적은 주제도 작성 원리를 따르지 않는 주제도가 학생들로 하여금 지리적 사실의 직관적 이해를 어렵게 할 수 있고, 나아가 지리적 사실에 대한 부정확한 이해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한 실제적인 증거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주제도 디자인 원리를 준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중·고등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주제도를 이용하여 지리적 사실 이해를 평가하는 설문지를 작성하여 사례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하여 얻은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데이터의 특성에 맞는 색채배열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 학생들은 지도에 대한 직관적 해석에 어려움을 보였으며, 지도가 제공하는 정보가 아닌 맥락적 지식이나 개인의 경험에 비추어 데이터를 해석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데이터의 특성에 맞지 않은 색채배열로 인하여 데이터를 부정확하게 이해할 가능성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둘째, 단계구분도 작성 시 데이터 해석에 중요한 기준 값을 급간 설정에 반영하지 않은 주제도의 경우, 학생들은 데이터 해석을 위하여 추가적인 분석을 시도하는 등 데이터에 대한 직관적인 해석에 어려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총량 데이터가 단계구분도로 표현된 경우, 데이터가 집계되는 기본 공간 단위들의 면적 차이가 데이터를 해석하는데 큰 영향을 주었으며, 이로 인하여 학생들은 지도에 표현된 데이터를 실제와는 다르게 해석하였다.
References
  1. 권동희・안재섭・오정준・이승철・신현종・조지욱・신승진, 2014, 「고등학교 세계지리」, 서울: 천재교육.
  2. 김감영, 2001, “GIS와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시공간 자료의 지리적 시각화,” 한국지도학회지, 1(1), 25-39.
  3. 김감영, 2012, “세계지도의 기복 재현을 위한 색채 배열 원리와 대안,” 한국지도학회지, 12(1), 21-32.
  4. 김감영, 2013. “중학교 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주제도 표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1(2), 43-53.
  5. 김은정, 2010, “교과서 수록 주제도의 표현 방법 및 문제점에 관한 연구, 제7차 교육과정 한국지리 4종 교과서를 사례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남상준, 1999, 「지리교육의 탐구」, 서울: 교육과학사.
  7. 노경주・김창환・정성훈・설규주・신현종・이재웅・강정구・진옥화・서범석・서수현, 2010, 「중학교 사회1」, 서울: 천재교육.
  8. 류주현, 1999, “효과적인 지도 제작을 위한 색채 활용에 관한 연구,” 지리·환경교육, 7(1), 283-306.
  9. 손일, 2001, “수준별 주제도 제작을 위한 기본 지침에 관해: 제6차 교육과정 사회과부도와 지리부도의 분석을 통해,” 한국지도학회지, 1(1), 41-51.
  10. 손일・정인철 역, 1998, 「지도와 거짓말」, 서울: 푸른길. (Monmonier, M., 1996, How to Lie with Maps, 2nd ed.,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1. 신근하, 2002, “급간 분류에 따른 단계구분도 인식에 관한 연구-고등학교 지리부도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신정엽・김감영・이건학 역, 2013, 「지도와 디자인」, 서울: 시그마프레스. (Krygier, J. and Wood, D., 2011, Making Maps: A Visual Guide to Map Design for GIS, 2nd ed, New York: The Guilford Press.)
  13. 윤진옥, 2019, “주제도 작성 원리가 지리적 사실 이해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이건학・김감영・김영호・김영훈・신정엽・이상일 역, 2014, 「지도학과 지리적 시각화」, 서울: 시그마프레스. (Slocum, T.A., McMaster, R.B., Kessler, F.C., and Howard, H.H., 2009, Thematic Cartography and Geovisualization, 3rd ed, New Jersey: Pearson.)
  15. 이경한, 2007, 「(사회과)지리 수업과 평가」, 파주: 교육과학사.
  16. 이종원, 2011, “도해력 다시 보기: 21세기 도해력의 의미와 지리교육의 과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9(1), 1-15.
  17. 이희연, 2007, 「지도학: 주제도 제작의 원리와 기법」, 파주: 법문사.
  18. 정나아・황철수, 2006, “지리부도 구성 및 주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지도학회지, 6(1), 25-33.
  19. 정인철, 2011, “지도제작에서의 색채대비 이용에 관한 연구,” 한국지도학회지, 11(1), 1-11.
  20. 정재준, 2015, “고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지도 오류 분석,” 한국지도학회지, 15(3), 127-141.
  21. 조철기, 2014, 「지리교육학」, 서울: 푸른길.
  22. 조현정, 2000, “단계구분도의색채배열에 관한 연구,” 지리학논총, 36, 125-151.
  23. 최규학・위상복・유성종・강성열・최희만・우연섭・이우평・이훈정・조철민・최종필・김지현・유진상・강재호・이두현・윤정현, 2013, 「고등학교 한국지리」, 서울: 비상교육.
  24. 최병두・김석준・손명원・진시원・김송지・천재호・김두일・신경헌・주미순・이경희・박길자・송승아・이형진, 2010, 「중학교 사회1」, 서울: 삼화출판사.
  2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용 도서 개발을 위한 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기준」.
  26. 황철수, 2002, “단계구분도의 색채배열에 관한 연구,” 한국지도학회지, 2(1), 63-70.
  27. The Atlas of Canada, http://atlas.nrcan.gc.ca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 Publisher(Ko) :한국지도학회
  • Journal Title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 Journal Title(Ko) :한국지도학회지
  • Volume : 19
  • No :2
  • Pages :53~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