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1 Vol.21, Issue 3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1 December 2021. pp. 13-22
Abstract
This study started with the problem that the number of annexed islands of Dokdo is expressed differently in maps produced by 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and Korea Land and Geospatial Informatix Corpor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ause of the problem and to make policy recommendations by analyzing the maps of Dokdo produced by related organizations and private cartographic companies from the time when the lot numbers were first assigned to Dokdo to the present.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is judged that it is unreasonable to call the rocky islands or reefs distributed around Dokdo as annexed islands. Relevant agencies need to clearly distinguish between rocky islands and reefs, and discuss whether to continue or selectively use the name of annexed islands. Second, in some cases, even a lump of rock falling from the mountaintop of Dokdo is counted as an annexed island. Therefore, related organizations should clearly identify the distribution of rocks and reefs around Dokdo. Finally, it is necessary to discuss in depth whether or not to retain the lot numbers assigned to the rocky islands and reefs. Since small rocky islands or reefs may disappear at any time due to weathering or erosion, it is necessary to be cautious about assigning lot numbers to these annexed islands.
이 연구는 국토지리정보원, 국립해양조사원, 한국국토정보공사 등 관계기관에서 제작된 독도지도에 독도의 부속도서 수가 상이하게 표현되고 있는 문제로부터 시작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독도에 지번이 처음으로 부여되었던 시점부터 현재까지 관계기관 및 민간지도제작사에서 제작된 독도지도를 분석함으로써 문제의 원인을 찾아내고, 정책적 제언을 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결과, 첫째, 독도 주변에 분포하는 바위섬이나 암초들을 부속도서로 통칭하는 것은 무리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관계기관에서는 바위섬과 암초를 명확하게 구분하고, 부속도서라는 명칭을 계속해서 쓸 것인지, 또는 선별적으로 쓸 것인지 여부를 논의할 필요가 있다. 둘째, 독도의 산정부에서 떨어진 암석 덩어리까지 부속섬으로 집계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현지조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문제라 사료된다. 따라서 관계기관에서는 독도 주변의 바위섬과 암초의 분포를 명확하게 파악한 후 지도화 작업을 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바위섬과 암초에 부여된 지번을 계속 유지할 것인지 여부를 심도있게 논의할 필요가 있다. 규모가 작은 바위섬이나 암초의 경우는 풍화작용이나 파식작용에 의해 언제든지 사라질 수도 있기 때문에 이들 부속섬에 지번을 부여하는 문제는 신중할 필요가 있다.
References
  1. 김일・김경수, 2008, "독도의 근대적 측량현황 고찰 및 측지측량성과 분석," 한국지적정보학회지, 10(2), 135-150.
  2. 동북아역사재단, 2020, 「독도 통합홍보 표준 지침」.
  3. 안동립・전창우, 2019, "독도의 산사태 지점 현황 및 변화 양상," 한국지도학회지, 19(1), 81-91.
  4. 이범관, 2004, "독도 필지의 태양 연구," 한국지적학회지, 20(1), 1-9.
  5. 이범관, 2006, "독도 지목변경의 필요성 연구: 실효적 지배 강화를 중심으로," 한국지적학회지, 22(2), 71-80.
  6. 이범관, 2007, "독도의 지적재조사가 국익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지적학회지, 23(2), 231-245.
  7. 이범관, 2012, "독도리 지번의 특성 연구," 한국지적학회지, 28(2), 43-54. 10.22988/ksc.2012. 28.2.004
  8. 이범관, 2013, "독도통합홍보표준지침의 실효성 제고 방향 연구," 한국지적학회지, 29(2), 99-111. 10.22988/ksc.2013.29.2.007
  9. 자연지리학사전편찬위원회, 1996, 「자연지리학사전」, 한울아카데미.
  10. 최선웅, 2008, "독도의 지형도 제작과 표현기법," 한국지도학회지, 8(1), 29-39.
  11. ◆ 지도 자료 ◆

     

  12.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2003, 국가기본도 1:5000(독도).
  13.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2019, 국가기본도 1:1000(독도 371160303, 독도 371160313, 독도 371160314, 독도 371160315, 독도 371160323, 독도 371160324, 독도 371160325).
  14. 행정자치부 한국국토정보공사, 2003, 지적도(독도).
  15.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 2020, 해도(no. 179-1).
  16. 동아지도, 2009, 독도지도.
  17. 동아지도, 2016, 독도지도.
  18. 동아지도, 2019, 독도지도.
  19. 동아지도, 2020, 독도지도.
  20. ◆ 웹사이트 자료 ◆

     

  21. 외교부, "외교부 독도", https://dokdo.mofa.go.kr/(2021.12 검색)
  22. 일본 국토지리원 전자국토웹, "오키노시마초(隱岐の島町)", http://maps.gsi.go.jp/#15/37.238453/131.878690/&base=std&ls=std&disp=1&vs=c1j0h0k0l0u0t0z0r0s0m0f1(2021.12 검색)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 Publisher(Ko) :한국지도학회
  • Journal Title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 Journal Title(Ko) :한국지도학회지
  • Volume : 21
  • No :3
  • Pages :1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