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1 Vol.21, Issue 2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1 August 2021. pp. 45-103
Abstract
Despite the 110-year history of secondary education in Chungbuk province, systematic research on education in Chungbuk province was very insufficient. Analysis about characteristics of Chungbuk middle school started from there. The results of analysis about names of 128 middle schools are as follows, as of April 1st 2021. In word type analysis, ‘Sino-Korea’ word was overwhelming at 98.4%. In syllable analysis, mean number of syllable was 2.63. In name source analysis, school name related to administrative district name was outstanding with 67.2% and school name related to humanistic factor was followed by 18.0%. Since large number of middle schools named after township(Myeon) name were abolished, the proportion of school name related to administrative district name decreased considerably. The proportion of private middle schools has decreased from 25.6% in 1970 to 14.8% now. The proportion of girls' middle schools has decreased from 20.6% in 1981 to 13.3% now. There have been 15 cases of renaming of middle school since 1952, and the proportion of private and girls' middle schools from renaming schools was relatively high. There were 19 middle schools that were actually abolished after 1952, and most of them were public middle schools in rural areas.
110년의 충북 중등교육의 역사에도 불구하고, 충북 교육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는 매우 미흡하다. 그래서 충북 중학교의 특성에 대한 분석을 시작하였다. 2021. 04. 01. 기준 128개 중학교의 명칭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교명의 어종은 한자어가 98.4%로 압도적이었고, 평균 음절수는 2.63음절로 상당히 짧았다. 명명 유연성은 행정구역명 관련 학교명이 67.2%로 가장 많았고, 인문지명이 18.0%로 다음을 차지하였다. 면명에서 연유한 다수의 중학교가 폐지되면서 행정지명의 비중이 상당히 감소하였다. 1970년 25.6%를 차지하였던 사립중학교는 현재 14.8%로 감소하였다. 1981년 20.6%를 차지하였던 여자중학교는 현재 13.3%로 감소하였다. 1952년 이후 개명 사례는 15건이 있었는데, 사립중학교와 여자중학교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1952년 이후 실제 폐지된 중학교는 19개교인데, 대부분 농촌 지역의 공립중학교였다.
References
  1. 강병륜, 1998, "청주 지역의 근대 지명어 연구," 공주교대논총, 34(1), 99-139.
  2. 괴산군지편찬위원회, 1990, 「괴산군지」, 괴산: 괴산군청.
  3. 국토지리정보원, 2010, 「한국지명유래집-충청편-」, 수원: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4. 김진식, 1998, "청원군 지명의 명명 유연성," 개신어문연구, 15, 37-75. 10.1023/A:1026661105789
  5. 김진식, 2000, "청원군 지명의 의미론적 연구: 후부 요소를 중심으로," 언어학, 4, 63-137.
  6. 단양교육사편찬위원회, 2003, 「단양교육사」, 단양: 충청북도단양교육청.
  7. 단양군지편찬위원회, 2005, 「단양군지(하)」, 단양: 단양군청.
  8. 도수희, 1994, "지명 연구의 새로운 인식," 새국어생활, 4(1), 3-27.
  9. 도수희, 2003, 「한국의 지명」, 아카넷.
  10. 박덕유, 1999a, "인천지역의 중학교명 연구," 지명학, 2, 83-108.
  11. 박덕유, 1999b, "인천지역 학교명 연구: 초·중·고등학교명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10, 21-80.
  12. 박덕유, 2010, "인천시 행정구역 명칭과 학교 명칭에 관한 연구," 지명학, 16, 87-118.
  13. 보은군지편찬위원회, 2016, 「보은군지(7)」, 보은: 보은군청.
  14. 서명인, 1998, "청원군 지명에 관한 지리학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서원대학교25년사편찬위원회, 1994, 「서원대학교25년사」, 청주: 서원대학교.
  16. 세광학원50년사편찬위원회, 2005, 「세광학원50년사」, 청주: 학교법인 세광학원.
  17. 송호열, 2006, 「한국의 지명 변천」, 파주: ㈜성지문화사.
  18. 송호열, 2017, "우리나라 대로명의 특성," 한국지도학회지, 17(3), 41-58. 10.16879/jkca.2017.17.3.041
  19. 송호열, 2018a, "비수도권 도시철도 역명의 지역별 특성," 한국지도학회지, 18(1), 29-48. 10.16879/jkca.2018.18.1.029
  20. 송호열, 2018b, "명명 유연성 관련 지명 유형 분류와 그 적용에 관한 고찰," 한국지도학회 2018 춘계학술대회발표자료집, 51-68.
  21. 송호열, 2018c, "자연지명 및 인문지명 관련 도시철도 역명의 부적합성," 한국지도학회지, 18(3), 45-66. 10.16879/jkca.2018.18.3.045
  22. 송호열, 2019, "우리나라 경찰서명의 특성: 1945년과 2018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지도학회지, 19(1), 17-34. 10.16879/jkca.2019.19.1.017
  23. 송호열, 2020a, "우리나라 세무서명의 특성 변화: 주요 변동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지도학회지, 20(1), 37-65. 10.16879/jkca.2020.20.1.037
  24. 송호열, 2020b, "우리나라 고속국도 분기점(JC)의 분포 및 명칭 특성," 한국지도학회지, 20(2), 1-11. 10.16879/jkca.2020.20.2.001
  25. 송호열, 2020c, "우리나라 고속국도 휴게소(SA)의 분포 및 명칭 특성," 한국지도학회지, 20(3), 23-43. 10.16879/jkca.2020.20.3.023
  26. 송호열, 2021, "우리나라 고속국도 나들목(IC)의 명칭 특성," 한국지도학회지, 21(1), 15-28. 10.16879/jkca.2021.21.1.015
  27. 신경순, 1979, "충북 지명의 유형 고찰," (청주교육대학교)논문집, 15, 147-170. 10.1111/j.1475-1305.1979.tb00304.x
  28. 신현웅, 1981, "충북 보은군 촌락명의 유형에 관한 지리학적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영동군지중간위원회, 1968, 「영동군지」, 대전: 회상사.
  30. 영동군지편찬위원회, 1991, 「영동군지」, 영동: 영동군청.
  31. 越智唯七(오치 다다시치), 1917, 「신구대조조선전도부군면리동명칭일람」, 경성: 중앙시장.
  32. 옥천군지편찬위원회, 1978, 「옥천군지」, 옥천: 사단법인 옥천문화원.
  33. 옥천군지편찬위원회, 1994, 「옥천군지」, 옥천: 옥천군청.
  34. 옥천군지편찬위원회, 2015, 「옥천군지(Ⅲ)」, 옥천: 옥천군청.
  35. 음성군지편찬위원회, 1979, 「음성군지」, 음성: 음성군청.
  36. 음성군지편찬위원회, 2008, 「음성군지(상)」, 음성: 음성군청.
  37. 음성읍지편찬위원회, 2018, 「음성읍지(상)」, 청주: 다솜디자인.
  38. 이돈주, 1998, "땅이름(지명)의 자료와 우리말 연구," 지명학, 1, 163-185.
  39. 전경숙, 1979, "충청북도 지명의 유형 분포에 관한 지리학적 연구: 진천군과 단양군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전철웅, 1998, "청주시 지명의 의미론적 연구," 호서문화논총, 12, 55-75. 10.1002/bate.199800560
  41. 제천교육사편찬위원회, 2008, 「제천교육사」, 제천: 충청북도제천교육청.
  42. 제천시지편찬위원회, 2004, 「제천시지(하)」, 제천: 제천시청.
  43. 진천군지편찬위원회, 1994, 「진천군지」, 진천: 진천군청.
  44. 청석학원80년사편찬위원회, 2004, 「청석학원80년사」, 청주: 청주대학교출판부.
  45. 청원교육50년사편집위원회, 2002, 「청원교육50년사」, 청주: 충청북도청원교육청.
  46. 청원군지편찬위원회, 1990, 「청원군지」, 청주: 청원군·청원문화원.
  47. 청원군지편찬위원회, 2006 「청원군지(상)」, 청주: 청원군청.
  48. 청주교육대학교60년사편집위원회, 2001, 「청주교육대학교육십년사」, 청주: 청주교육대학교.
  49. 청주시, 2017, 「청주시지(4권)」,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50. 청주시지편찬위원회, 1976, 「청주시지」, 청주: 청주시청.
  51. 청주시지편찬위원회, 1997, 「청주시지(하)」, 청주: 청주시청.
  52. 충북교육사편찬위원회, 1979, 「충북교육사」, 청주: 충청북도교육위원회.
  53. 충북교육사제2집편찬위원회, 2010, 「충북교육사(제2집)」, 청주: 충청북도교육청.
  54. 충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1999, 「청주 지명 유래」, 청주: 청주시청.
  55.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2014, 「청원군69년사」, 청주: 청원군청.
  56.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2017, 「청주시지(1)」, 청주: 청주시청.
  57. 충주문화원, 1985, 「충주중원지」, 충주: 충주시·중원군.
  58. 충주시지편찬위원회, 2001, 「충주시지(중)」, 충주: 충주시청.
  59. 충청북도, 2020, 「60회 충북통계연보」, 청주: 충청북도청.
  60. 충청북도교육청, 1967~2020, 「충북교육통계연보」, 청주: 충청북도교육청.
  61. 충청북도교육청, 1986~2021, 「교육행정요람」, 청주: 충청북도교육청.
  62. 충청북도교육청, 2006, 「(광복·교육 60년 기념) 충북교육연혁」, 발간등록번호 충북-2006-5.
  63. 충청북도교육청, 2021, 「충북 학교 신설・이전・폐지 교명 현황」.
  64. 충청북도괴산교육청, 2004, 「(문닫은 학교 연혁 자료집) 문닫은 학교의 추억 속으로」, 괴산: 충청북도괴산교육청.
  65. 충청북도영동교육청, 2003, 「영동교육사」, 영동: 충청북도영동교육청.
  66. 충청북도영동교육청, 2004, 「문닫은 학교의 역사」, 영동: 충청북도영동교육청.
  67. 충청북도옥천교육청, 2004, 「옥천교육발자취」, 옥천: 충청북도옥천교육청.
  68. 충청북도진천교육청, 2001, 「(충・효・예・지의 본향) 진천교육50년사」, 진천: 충청북도진천교육청.
  69. 한글학회, 1970, 「한국지명총람3(충북편)」, 서울: 한글학회.
  70. 형석중학교, 2020, 「형석중50년사」, 증평: 형석중학교.
  71. 뉴시스, 2008년 9월 22일, "내년에 문 여는 학교, 교명 '윤곽'"
  72. 연합뉴스, 2019년 2월 11일, "영동군 3개교 통합한 새너울중학교 내달 개교"
  73.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74. 두산백과, http://www.doopedia.co.kr
  75. 카카오맵, http://map.kakao.com
  76.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ac.kr
  77.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http://www.grandculture.net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 Publisher(Ko) :한국지도학회
  • Journal Title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 Journal Title(Ko) :한국지도학회지
  • Volume : 21
  • No :2
  • Pages :45-103
  • The Original Article was published on 31 August 2021
    Erratum to :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2021) 21(2):45-103 https://doi.org/10.16879/jkca.2021.21.2.045

    송호열(2021b)의 논문 “충청북도 중학교의 명칭 특성”에 다수의 오류가 발견되어 아래와 같이 수정한다.

     

    1) 55쪽 좌단 상20줄 : 청원중 → 청운중

    2) 63쪽 좌단 하 6줄 : 「청주시지(하)」 → 「청주시지(상)」

    3) 63쪽 우단 상5~6줄 : 중복 및 잘못 표기한 참고문헌 삭제

    4) 2)항과 관련하여 [별지] 오류 수정 : 「청주시지(하)」 → 「청주시지(상)」

      ① 101쪽 좌단 상 2줄

      ② 101쪽 좌단 하10줄

      ③ 102쪽 좌단 상 5줄

      ④ 102쪽 좌단 상13줄

      ⑤ 102쪽 좌단 상18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