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Abstract
References
Information
The term “urban-rural consolidated city” refers to a type of city that emerged in South Korea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local autonomy system in 1995, to promote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and changes in urban strength (urban capacity) for 54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in South Korea. Urban strength is quantified through a composite index comprising 14 indicators across four domains: population, society, economy, and infrastructure, for 2010 and 2020.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ities with larger populations tended to exhibit higher urban strength. Second, from 2010 to 2020, there was a general trend of a narrowing range in urban strength indices among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Thir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when comparing urban strength among the three categorized groups of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우리나라의 도농복합시는 1995년 지방자치제도가 시행되면서 등장한 도시 유형으로, 도시와 농촌의 균형발전을 목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54개 도농복합시를 대상으로 인구, 사회, 경제, 인프라의 4개 영역, 14개 지표로 구성된 도시역량 지표를 종합지수화하여 2010년과 2020년의 도농복합시 도시역량의 공간 분포 패턴 및 변화를 실증적으로 탐색한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가 많은 도시일수록 도시역량이 높은 경향이 나타났다. 둘째,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전반적으로 도농복합시 도시역량 지수의 범위가 축소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셋째, 세 집단으로 유형화한 도농복합시의 도시역량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 강창숙, 2017, “청주시 도농 통합 과정 및 지명 선정에서 나타난 주민인식,” 문화역사지리, 29(4), 38-58. http://dx.doi.org/10.29349/JCHG.2017.29.4.38 10.29349/JCHG.2017.29.4.38
- 권진우・옥진아・김희연・박성호, 2020, 「도농복합시 고령화 대응 전략: 안성시를 중심으로」, 경기연구원.
- 김선기, 1996, “도농복합시의 도시계획체제 정립,” 지방행정연구, 11(1), 1117-1141.
- 김은설, 2019, 「도농복합시에서 시작하는, 육아친화농어촌 만들기」, 육아정책연구소.
- 김주영・허선영・문태헌, 2017, “전주 한옥마을의 도시재생사업이 지역변화에 미친 영향,”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3(1), 106-117. http://dx.doi.org/10.26863/JKARG.2017.02.23.1.106 10.26863/JKARG.2017.02.23.1.106
- 박경훈・정성관・최원명, 2000, “도농통합시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지역특성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3(2), 37-47.
- 박종관・조석주, 2001, “시・군 통합에 의한 행정구역개편 정책의 성과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 사회와 행정 연구, 12(3), 57-77.
- 서형주・박인권, 2022, “도농통합에 따른 도시-농촌 간 인구이동의 중심성 변화: 강원도 도농통합시 사회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4(3), 1-26. https://data.doi.or.kr/10.22885/KRDA.2022.34.3.1 10.22885/KRDA.2022.34.3.1
- 손승호, 2011, “도농복합 안성시의 인구규모와 인구속성의 변화,”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4(1), 81-94. 10.1007/s11618-011-0229-9
- 손승호, 2013, “인구규모의 변화를 통해 본 도농통합시의 차별적 성장,”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6(1), 85-98.
- 손승호, 2015, “경기도 도농복합시의 경제공간 변화와 유형 분류,”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8(1), 45-59.
- 이석민, 2022, “종합 지표를 통한 우리나라 소규모 도시 역량 평가,”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희연・노승철, 2013, 「고급통계분석론: 이론과 실습」, 제2판, 고양: 문우사.
- 임석회・송주연, 2020, “마산・창원・진해의 행정구역 통합 효과: 도시성장과 균형발전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55(3), 289-312. https://doi.org/10.22776/kgs.2020.55.3.289 10.22776/kgs.2020.55.3.289
- 조석주・장은주・박종관・윤석범, 2000, 「도농복합형태의 시」 제도분석과 발전방향」, 한국지방행정연구원.
- 최아수, 2019, “아동친화도시의 종합 평가지표 수립과 공간 분포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최아수, 2023, “도농복합시 공간구조의 시공간 역동성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16879/jkca.2023.23.3.055
- 최아수・신정엽, 2023, “밀도 기반의 도시 스프롤 측정 방법을 통한 도농복합시의 도시공간구조 탐색,” 한국지도학회지, 23(3), 55-67. https://doi.org/10.16879/jkca.2023.23.3.055
- 최종철・이왕건, 1998, 「도농통합시의 도시계획제도 연구」, 국토연구원.
- Abreu, I. and Mesias, F., 2020, The assessment of rural development: Identification of an applicable set of indicators through a Delphi approach, Journal of Rural Studies, 80, 578-585. https://doi.org/10.1016/j.jrurstud.2020.10.045 10.1016/j.jrurstud.2020.10.045
- Bruneckiene, J., Guzavicius, A., and Cincikaite, R., 2010, Measurement of urban competitiveness in Lithuania, Inzinerine Ekonmika-Engineering Economics, 21(5), 493-508.
- Jiang, Y. and Shen, J., 2010, Measuring the urban competitiveness of Chinese cities in 2000, Cities, 27(5), 307-314. https://doi.org/10.1016/j.cities.2010.02.004 10.1016/j.cities.2010.02.004
- Luo, J., 2019, Evaluation of urban comprehensive strength in Anhui province based on factor analysis, Tourism Management and Technology Economy, 2, 13-21.
- Malecki, E., 2000, Knowledge and regional competitiveness, Erdkunde, 54(4), 334-351. 10.3112/erdkunde.2000.04.04
- Saaty, T.L., 1980,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New York: McGraw-Hill. 10.21236/ADA214804
- Sáez, L., Periáñez, I., and Heras-Saizarbitoria, I., 2017, Measuring urban competitiveness: Ranking European large urban zones, Journal of Place Management and Development, 10(5), 479-496. http://dx.doi.org/10.1108/JPMD-07-2017-0066 10.1108/JPMD-07-2017-0066
- Stoica, I., Tulla, A., Zamfir, D., and Petrisor, A., 2020, Exploring the urban strength small towns in Romania, Social Indicators Research, 152, 843-875. https://doi.org/10.1007/s11205-020-02465-x 10.1007/s11205-020-02465-x
- 교육통계서비스(KESS), https://kess.kedi.re.kr
- KOSIS 국가통계포털, https://kosis.kr
- Publisher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 Publisher(Ko) :한국지도학회
- Journal Title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 Journal Title(Ko) :한국지도학회지
- Volume : 24
- No :2
- Pages :59~71
- DOI :https://doi.org/10.16879/jkca.2024.24.2.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