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4 Vol.24, Issue 2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1 August 2024. pp. 73~88
Abstract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the impact of youth migration on population redistribution. To this end, Crude Migration Intensity (CMI) and Migration Effectiveness Index (MEI) were measured at various spatial scales, with youth migration being categorized based on two primary purpose (i.e., higher education and employment).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higher education driven migration plays a significant role in population redistribution across all the spatial scales. Secondly, employment-related migration tends to be concentrate in particular regions, and the geographical scope of education-driven migration is also relatively limited. Thirdly, the influence of youth migration for university education and employment differs among gender groups. Finally, the population structure of a region is considered to be closely linked to youth migration. These findings are hopefully expected to offer important implications for diagnosing and addressing population issues in South Korea.
이 연구의 목적은 청년층의 이동이 인구 재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청년층의 이동을 대학 진학과 취업 목적으로 구분하고, 다양한 스케일에서 조이동강도와 인구이동 유효도 지수를 산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진학 관련 이동은 시군구뿐만 아니라 모든 스케일에서 인구 재분포에 상당히 큰 역할을 하고 있었다. 둘째, 취업 이동은 특정 권역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었고, 이동 범위도 대학 진학을 위한 이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범위에 국한되어 나타났다. 셋째, 청년층의 대학 및 취업을 위한 이동의 영향력은 성별에 따라 편차가 존재하였다. 넷째, 성비를 사례로 탐색한 결과 한 지역의 인구학적 결과는 청년층의 인구이동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우리나라의 지역별 인구문제 진단 및 대응책 마련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References
  1. 강동우, 2019, “청년층 지역이동의 특징과 지역 특성의 영향,” 노동리뷰, 2, 47-60.
  2. 강은택・마강래, 2014, “수도권 대학으로의 이동 요인과 졸업 후 경제적 효과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9(6), 5-16. https://doi.org/10.17208/jkpa.2014.10.49.6.5 10.17208/jkpa.2014.10.49.6.5
  3. 강은택・강정구・안아림・마강래, 2016, “고급인력의 인구이동패턴과 인적자원의 지역 불균형,” 대한부동산학회지, 34(2), 305-321.
  4. 구형모, 2018, “대학 진학 이동과 대학 졸업자 취업 이동의 공간적 특성 탐색,”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1(3), 109-122. 10.21189/JKUGS.21.3.8
  5. 권오규・마강래, 2012a, “대학진학이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지역연구, 28(4), 65-77.
  6. 권오규・마강래, 2012b, “변이할당모형을 이용한 수도권 인구 유출입 분석,” 국토계획, 48(8), 5-19. https://doi.org/10.17208/jkpa.2014.12.49.8.5 10.17208/jkpa.2014.12.49.8.5
  7. 권혁범・신형진, 2022, “대구・경북지역 대졸자의 취업 이동 연구: 사회연결망과 직업가치 요인이 이동목적지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담론과 정책, 15(1), 303-323. https://doi.org/10.22417/DPSS.2022.4.15.1.303 10.22417/DPSS.2022.4.15.1.303
  8. 김감영, 2010, “연령별 인구이동 특성에 대한 탐색적 공간데이터분석(ESDA): 대구시를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6(5), 590-609.
  9. 김감영・용환성, 2014, “도시 내 학업성취도 격차와 학령인구 이동과의 관련성: 대구광역시를 사례로,” 한국지도학회지, 14(2), 53-72. 10.16879/jkca.2014.14.2.053
  10. 김리영, 2019, “지역간 특성차이가 서울시 청년층 이동에 미치는 영향분석,” 지역연구, 35(2), 49-57.
  11. 김민석・강민규, 2023, “개인 및 지역 특성을 고려한 비수도권 청년유출 영향 요인 분석,” 도시행정학보, 36(2), 47-66. https://doi.org/10.36700/KRUMA.2023.6.36.2.47 10.36700/KRUMA.2023.6.36.2.47
  12. 김영식, 2020, “청년층의 대학 진학 및 취업 관련 지역 이동 예측 요인 탐색,” 교육재정경제연구, 29(4), 129-149.
  13. 김영식・이재준, 2022, “동남권 지역 청년층의 대학 입학 및 취업, 대학원 진학 관련 지역 이동 실태 분석,” 지방교육경영, 25(3), 73-94. 10.23196/tjlem.2022.25.3.073
  14. 김재홍, 2018, “대졸자의 취업이동과 지역인재유출: 울산지역 사례,” 한국지방자치연구, 19(4), 69-90.
  15. 김준영, 2016, “청년인구의 지방유출과 수도권집중: 5가지 특징,” 지역고용동향브리프 2016년 가을호, 한국고용정보원, 6-24.
  16. 김현우・강명구, 2020, “삶의 자기결정권 선호에 따른 밀레니얼 세대 청년층의 인구이동 특징,”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2(5), 49-77.
  17. 마스다 히로야, 2014, 地方消滅 - 東京一極集中が招く人口急減, 김정환 역, 2014, 「지방소멸」, 와이즈베리.
  18. 문남철, 2010, “대학 졸업자의 지역간 취업이동과 지역발전,” 국토지리학회지, 44(4), 581-593.
  19. 문남철, 2018, “대학의 입지분포와 분포패턴 및 입지변동: 일반대학을 중심으로,” 국토지리학회지, 52(2), 205-218.
  20. 문남철, 2019, “지역고용시장의 변화와 지역 간 노동이동,”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5(4), 449-462. https://doi.org/10.26863/JKARG.2019.11.25.4.449 10.26863/JKARG.2019.11.25.4.449
  21. 민보경, 2017, “서울시 학령인구의 이동패턴 및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9(3), 47-72.
  22. 박영한, 1995, “대학의 입지가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분석,” 지리학논총, 31, 1-16.
  23. 박영한・조영국・안영진, 2001, “대학과 지역발전 : 연구동향과 전망,” 대한지리학회지, 36(4), 418-433.
  24. 박지희, 2021, “학생쏠림과 학령 인구 이동의 시공간적 역동성 탐색,”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5. 심재헌・김의준, 2012, “대학졸업자의 지역 간 취업이동 요인분석: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취업이동을 중심으로,” 국토연구, 75, 37-51. 10.15793/kspr.2012.75..003
  26. 안영진, 2005, “대학과 지역 간의 교류 및 협력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8(1), 73-91.
  27. 이규용・고영우・김우영・오민홍・이상호・홍성효, 2015, 「지역고용전략 수립을 위한 노동 시장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8. 이상림, 2020, “청년인구 이동에 따른 수도권 집중과 지방 인구 위기,” 보건복지 ISSUE & FOCUS, 395, 1-9.
  29. 이상일・김현미, 2022, “우리나라 대도시의 연령-특수적 전출입 플로 분석: 2020년 인구이동을 사례로,” 한국지도학회지, 22(2), 1-16. https://doi.org/10.16879/jkca.2022.22.2.001 10.16879/jkca.2022.22.2.001
  30. 이상일・이소영, 2021, “인구이동 플로의 지리적 시각화를 위한 개념적 명료화: 우리나라 2020년 인구이동에 대한 주제도 제작,” 한국지도학회지, 21(3), 23-42. https://doi.org/10.16879/jkca.2021.21.3.023 10.16879/jkca.2021.21.3.023
  31. 이상일・이소영, 2023, “인구이동이 인구재분포에 미치는 영향력의 시공간적 역동성 탐색: 우리나라 국내 인구이동에의 적용,” 한국지도학회지, 23(1), 1-19. https://doi.org/10.16879/jkca.2023.23.1.001 10.16879/jkca.2023.23.1.001
  32. 이상호. 2012, “공간적 요인이 청년 대졸자의 하향취업에 미치는 효과,” 공간과 사회, 22(2), 38-77.
  33. 이상호, 2016, 「한국의 ‘지방소멸’에 관한 7가지 분석」, 한국고용정보원.
  34. 이소영, 2022, 「공간인구학적 관점에 기반한 지역의 인구 위기 진단 및 해결 방안 모색」, 한국연구재단 학술활동 결과보고서.
  35. 이윤경, 2021, “생애주기의 연령기준과 연령규범에 대한 인식,” 보건복지포럼, 293, 39-54. 10.31148/kjmnr.2021.39.2.54
  36. 이찬영, 2018, “연령대별 인구유출입 결정요인 분석,” 산업경제연구, 31(2), 707-729. https://doi.org/10.22558/jieb.2018.04.31.2.707 10.22558/jieb.2018.04.31.2.707
  37. 이현욱, 2013, “청년층 여성의 취업이동과 불안정 고용에 대한 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6(2), 105-118.
  38. 이화정・이상일・조대헌, 2013, “거주지 이동을 통한 학교 선택의 공간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 초등학생의전학 양상을 사례로 한 시론적 분석,” 대한지리학회지, 48(6), 897-913.
  39. 장인수・우해봉・임지혜・손호성・박종훈, 2020, 「지역 인구 변화에 따른 정책 과제와 대응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0. 정성호, 2019, “지방소멸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지역사회학, 20(3), 5-28. https://doi.org/10.35175/KRS.2019.20.3.5 10.35175/KRS.2019.20.3.5
  41. 정윤선・지민웅, 2012, 「신규산업인력 이동특성과 정책적 시사점」, 산업연구원.
  42. 조대헌・갈봉수・권용민, 2023, “우리나라 일반 대학의 입학 경쟁률 및 충원율 연관 요인 분석: 공간분석적 접근,”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9(4), 502-521. 10.26863/JKARG.2023.11.29.4.502
  43. 조동훈, 2021 “고졸이후 대졸자의 지역간 이동경로 요인분석,” 경제연구, 39(4), 85-110. 10.30776/JES.39.4.4
  44. 채동우・박현식, 2022, “수도권과 지방대학 간의 입학경쟁률 격차에 관한 연구 -경쟁 구조의 비대칭성과패널모형적용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 30(4), 29-53. https://doi.org/10.22921/jrs.2022.30.4.002 10.22921/jrs.2022.30.4.002
  45. 최은영, 2004, “선택적 인구이동과 공간적 불평등의 심화: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7(2), 57-69.
  46. 최조순・박지영・조해진, 2023, “경기도 청년인구의 사회적 이동 실태 및 특성,” 한국지적정보학회지, 25(2), 34-50. 10.46416/JKCIA.2023.08.25.2.34
  47. 통계청, 2020, 「국내인구이동통계」 통계정보보고서.
  48. 한요셉, 2021, 「청년층의 지역 간 이동에 관한 연구: 대학 진학을 중심으로」, KDI정책연구시리즈.
  49. Bell, M. and Muhidin, S., 2009, Cross-National Comparison of Internal Migration, Human Development Research Paper 2009/30,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50. Belmonte, M., Conte, A., Ghio, D., Kalantaryan, S., and McMahon, S., 2020, Youth and Migration: An Overview, Luxembourg: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51. Fassmann, H., Münz, R., and Seifert, W., 1997, Die Arbeitsmarktposition ausländischer Arbeitskräfte in Deutschland (West) und Österreich, Mitteilungen aus der Arbeitsmarkt- und Berufsforschung, 30(4), 732–745.
  52. Faggian, A., Corcoran, J., and Rowe, F., 2017, Special issue on youth and graduate migration, The Annals of Regional Science, 59, 571-575. 10.1007/s00168-017-0845-2
  53. Fielding, A.J., 1992, Migration and social mobility: South East England as an escalator region, Regional Studies, 26(1), 1-15. https://doi.org/10.1080/00343409212331346741 10.1080/0034340921233134674112285048
  54. Frenette, M., 2006, Too far to go on? Distance to school and university participation, Education Economics, 14(1), 31-58. https://doi.org/10.1080/09645290500481865 10.1080/09645290500481865
  55. Gibbons, S. and Vignoles, A., 2012, Geography, choice and participation in higher education in England, Regional Science and Urban Economics, 42(1-2), 98-113. https://doi.org/10.1016/j.regsciurbeco.2011.07.004 10.1016/j.regsciurbeco.2011.07.004
  56. Iammarino, S. and Marinelli, E., 2015, Education–job (mis) match and interregional migration: Italian university graduates’ transition to work, Regional Studies, 49(5), 866-882. https://doi.org/10.1080/00343404.2014.965135 10.1080/00343404.2014.965135
  57. Klasik, D., Blagg, K., and Pekor, Z., 2018, Out of the education desert: how limited local college options are associated with inequity in postsecondary opportunities, Social Sciences, 7(9), 165. https://doi.org/10.3390/socsci7090 10.3390/socsci7090165
  58. OECD, 2024, Society at a Glance 2024: OECD Social Indicators, OECD Publishing, Paris. https://doi.org/10.1787/918d8db3-en 10.1787/918d8db3-en
  59. Plane, D.A., 1984, Migration space: Doubly constrained gravity model mapping of relative interstate separation,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74(2), 244-256. https://doi.org/10.1111/j.1467-8306.1984.tb01451.x 10.1111/j.1467-8306.1984.tb01451.x
  60. Plane, D.A., 1994, The wax and wane of interstate migration patterns in the USA in the 1980s: A demographic effectiveness field perspective, Environment and Planning A, 26(10), 1545-1561. https://doi.org/10.1068/a261545 10.1068/a261545
  61. Rees, P. and Sander, N., 2019, The role of internal migration as a driver of regional population change in Europe, Comparative Population Studies, 44, 533-544. 10.12765/CPoS-2020-17
  62. Rees, P., Bell, M., Kupiszewski, M., Kupiszewska, D., Ueffing, P., Bernard, A., Charles-Edwards, E., and Stillwell, J., 2017, The impact of internal migration on population redistribution: An international comparison, Population, Space and Place, 23(6), e2036. https://doi.org/10.1002/psp.2036 10.1002/psp.2036
  63. Smith, D.P. and Sage, J., 2014, The regional migration of young adults in England and Wales (2002-2008): a ‘conveyor-belt’of population redistribution?, Children’s Geographies, 12(1), 102-117. https://doi.org/10.1080/14733285.2013.850850 10.1080/14733285.2013.850850
  64. 고용조사 분석시스템, https://survey.keis.or.kr/
  65. 국가통계포털, https://kosis.kr
  66. 마이크로데이터 통합서비스, https://mdis.kostat.go.kr
  67. 통계청 e-나라지표, https://www.index.go.kr/unity/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48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 Publisher(Ko) :한국지도학회
  • Journal Title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 Journal Title(Ko) :한국지도학회지
  • Volume : 24
  • No :2
  • Pages :73~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