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0 Vol.20, Issue 1

Research Article

30 April 2020. pp. 1-12
Abstract
As interest in the naming of the East Sea has increased since the UNCSGN held in 1992, research on the naming of the ‘East Sea’ has been conducted with various viewpoints, and a number of papers and books have been published. However, it is not well known that the boundaries of ‘Japan Sea’ is different from ‘East Sea’, and Japan Sea includes waters from the west end of Jeju Island via the sea off the coast of Jindo to off the coast of Busan. This study analyzed the maps included in the draft of fourth edition of IHO S-23 document ‘Limits of Oceans and Seas’. Compared with the 1st to 3rd editions, naming rule of the 1986 and 2002 draft is hierarchical. Author aims to refresh that the Korea Strait was included in the ‘Japan Sea’ and to verify the hypothesis how Korea Strait was regarded as a part of Japan Sea. It seems victory in Korea Strait changed to the victory of the Battle of the ‘Sea of ​​Japan’ in Russo-Japanese War in 1905 by the Japanese naval leaders. If the hypothesis is clearly proved through review of the historical documents of Japan and the IHO in the future, it may become a turning point in the East Sea/Japan Sea naming problem.
1992년 개최된 유엔지명표준화총회 이후 ‘동해’ 지명 표기에 관한 관심이 커지면서 동해 표기에 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졌으며 다수의 논문과 책자가 발간되었다. 하지만 ‘Japan Sea’로 표시된 해역의 범위에 관해서는 정작 관심이 적은 편으로 제주도 서단과 진도 앞바다를 연결하는 선부터 부산 앞바다에 이르는 대한해협 해역까지도 포함하고 있음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이 연구는 2002년 회람된 IHO S-23 「해양과 바다의 경계(Limits of Oceans and Seas)」 초안에 첨부된 지도를 분석하였다. 1~3판과는 달리 1986년과 2002년 초안에는 바다지명에 계층이 도입되어 있다. 대한해협이 ‘Japan Sea’에 포함되어 있음을 새로이 인식하고 그 배경에 대한 종합적 이해가 필요하다. 1905년 러·일 전쟁 중에 작성된 조선해협 경계 작전도의 경계선과 유사함을 지적하고자 한다. 일본해의 일부로 대한해협이 포함되기 시작한 배경에 대한 가설은 러·일 전쟁 후 일본군부가 대한해협의 승리를 일본해 해전의 승리로 선전한 것에 기인하고 있다는 것이다. 추후 근대 일본 사료와 IHO의 문서들에 대한 사료검토를 통해 가설이 확실하게 증명된다면 동해・일본해 표기 문제에서도 전환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eferences
  1. 강동진・임병호・장소영・김윤배・김경렬, 2009, “국제 학술지에 발표된 연구 논문에서 동해의 표기 현황,” Ocean and Polar Research, 31(1), 133-156.
  2. 김신, 1997, 「잃어버린 동해를 찾아서」, 두남.
  3. 김신, 2011, “동해경계와 표기과정 재조명,” 인터넷비즈니스 연구, 12(1), 111-133.
  4. 김윤배・김구, 2015, “동해 지리적 범위 사용 사례 및 정립 필요성,” 수산해양교육연구, 27(5), 1380-1394.
  5. 김호동, 2010, “「日露淸韓明細新圖」에 표기된 ‘일본해’ 명칭의 역사적 의미,” 한국지도학회지, 10(1), 27-37.
  6. 독도박물관, 2002, 「잊혀진 “조선해”와 “조선해협”」, 연구자료총서 II.
  7. 박경, 2011, “구글사의 위성영상과 미국의 지명위원회 데이터베이스에 나타난 일본식 지명연구-미국 군사지도와의 관련성 측면에서,” 한국지도학회지, 11(2), 39-49.
  8. 박경・장은미, 2012, “1700년대 후반부터 1800년대 말까지 한국 수로조사에 미친 서양의 영향: 해안가 지명과 해저지명을 중심으로,” 한국지도학회지, 12(3), 17-25.
  9. 박찬호, 2012, “동해표기의 국제법적 고찰 - UNCSGN과 IHO 결의를 중심으로,” 법학연구, 53(3), 115-141.
  10. 서정철, 1997, “고지도의 동해-일본해 명칭에 대한 인지언어학적 고찰,” 「동해 지명 표준화를 위한 국제 세미나 발표 논문집」.
  11. 심정보, 2007, “일본에서 일본해 지명에 관한 연구 동향,” 한국지도학회지, 7(2), 15-24.
  12. 심정보, 2013, “일본고지도에 표기된 동해 해역의 지명,” 한국고지도연구, 5(2), 19-32.
  13. 심정보・정인철, 2011, “세계 고지도의 동해 해역에 나타난 지명 병기의 사례 연구,” 영토해양연구, 2, 6-29.
  14. 양보경, 2004, “조선시대 고지도에 표현된 동해 지명,”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지, 16(1), 89-111.
  15. 오일환, 2002, “서양 고지도 속의 동해 표기‐18세기를 중심으로,” 「동해 명칭에 대한 학술 세미나: 동해 명칭의 국제표준화와 향후 대책」.
  16. 이기석, 1998, “동해 지리명칭의 역사와 국제적 표준화를 위한 방안,” 대한지리학회지, 33(4), 541-556.
  17. 이기석, 2007, 「동해명칭의 국내외적 정착 연구용역」, 국립해양조사원.
  18. 이상태, 2004, “서양 고지도에 나타난 동해 표기에 관한 연구,” 문화지리, 16(1), 157-164.
  19. 정인철, 2010, “프랑스 국립도서관 소장 서양 고지도에 나타난 동해 지명의 조사 연구,” 한국지도학회지, 10(2), 13-27.
  20. 정인철, 2011, “부아쉬의 산맥체계에 의한 바다분류가 동해 표기에 주는 시사점,” 한국지도학회지, 11(2), 15-26.
  21. 정인철, 2015, 「한반도, 서양 고지도로 만나다: 중세부터 근대까지 서양 고지도 속 한반도에 대한 총체적 분석」, 서울: 푸른길
  22. 주성재, 2012 “동해 표기의 최근 논의 동향과 지리학적 지명연구의 과제,” 대한지리학회지, 47(6), 870-883.
  23. 주성재, 2018, “두 지명 사용의 본질과 실행 가능성: 동해 수역 병기 추진을 위한 고려사항,” 한국지도학회지 18(3), 33-43.
  24. 서정철・김인환, 2014, 「동해는 누구의 바다인가」, 서울: 김영사
  25. 한상복, 2000, 「독도와 동해」, 서울: 한수당자연환경연구원.
  26. 한종엽, 2015, “동해 표기에 대한 계량적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2(1), 23-41.
  27. Fourcy, D. and Lorvelec, O., 2013, A new digital map of limits of oceans and sea consistent with high- resolution global shorelines, Journal of Coastal Research, 29(2), 471-477.10.2112/JCOASTRES-D-12-00079.1
  28. Kerr, A., 1994, Problems and Progress - Defining the Limits of Oceans and Seas, http://eastsea1994.org/ data/bbsData/14630214691.pdf.
  29. Lewis, M., 1999, Dividing the ocean sea, The Geographical Review, 89(2), 188-214.10.2307/216086
  30. Michoudet, C., 2005, The Naming of the Korea- Tsushima Strait: Cartographic Origins and Current Custom, The 11th International Seminar on the Naming of Seas, Washington DC, USA.
  31. Watanabe, K. and Yaji, M., 2010, Study on the geographical name “Japan Sea”, 16th International Seminar on Sea Names, http://www.eastsea1994. org/data/bbsData/14630315201.pdf
  32. 국제수로기구 IHO, https://iho.int/en/iho-publications
  33. 대한민국외교부, http://www.mofa.go.kr/www/wpge/m_ 3838/contents.do
  34. 일본외무성, https://www.mofa.go.jp/policy/maritime/japan/ index.html
  35. David Rumsey Map Collection, https://www.davidrumsey. com/
  36. IHO Publication S-23 Draft 4th Edition, 2002, https:// legacy.iho.int/mtg_docs/com_wg/S-23WG/S-23WG_Misc/Draft_2002/Draft_2002.htm
  37. S-23 Limit_of_Oceans_and_Seas_-_1st_Edition_-_1928.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4/46/Limit_of_Oceans_and_Seas_-_1st_Edition_-_1928.jpg
  38. VLIZ, https://www.vliz.be/en/maps-0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 Publisher(Ko) :한국지도학회
  • Journal Title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 Journal Title(Ko) :한국지도학회지
  • Volume : 20
  • No :1
  • Pages :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