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search Article
-
Map Indices and Coordinate Systems for Small Scale Antarctic Mpas
남극 소축척 지도 제작을 위한 좌표 체계 및 도엽 체계 설정에 관한 연구
-
Jae-joon Jeong
정재준
- In order to conduct research activities around the Antarctic base and construct an inland Antarctic base, not only large-scale maps but also …
남극 연구 활동 및 내륙 기지 건설을 위해서는 대축척 지도뿐만 아니라 넓은 지역을 파악할 수 있는 소축척 지도 역시 필요하며, 우리나라는 국토위성(차세대 …
- In order to conduct research activities around the Antarctic base and construct an inland Antarctic base, not only large-scale maps but also small-scale maps are necessary. Korea plans to produce small-scale maps using domestic and foreign satellite images such as next-generation mid-size satellites and Arirang satellites.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scales of maps, projection and coordinate systems and map indices for generation of small-scale maps in the Antarctic region. Considering overseas cases and the scale hierarchy, 1:6 million, 1:1 million, and 1:25 thousand are set as the appropriate scales. Projection and coordinate systems are proposed based on the SCAR (Scientific Committee on Antarctic Research) coordinate system and IMW(International Map of the World) division systems for the three scale maps, and the scale factors were calculated to present the accuracy of the projection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And then, methods for map indices were presented and layouts for each scales were produced so that they can be used in the production of actual small-scale Antarctic maps in the future.
- COLLAPSE
남극 연구 활동 및 내륙 기지 건설을 위해서는 대축척 지도뿐만 아니라 넓은 지역을 파악할 수 있는 소축척 지도 역시 필요하며, 우리나라는 국토위성(차세대 중형위성) 및 아리랑 위성을 포함한 국내외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소축척 지도를 제작할 계획이다. 본 연구는 체계적인 남극 소축척 지도 제작을 위해 사전에 결정되어야 할 소축척 지도의 축척 선정, 축척별 소축척 지도의 투영법 및 좌표 체계 설정, 도엽의 구성 등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해외 사례 및 기존 구축된 공간 정보와의 축척 위계를 고려하여 남극 소축척 지도 제작에 적합한 축척을 1:600만, 1:100만, 1:25만 축척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세 가지 축척 지도에 대해 SCAR 좌표계와 IMW 분할 체계를 바탕으로 투영법 및 좌표 체계를 제시하였고 투영법에 따른 축척계수를 계산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한 투영법의 정확도를 제시하였다. 또한, 도엽 구성 방법을 제시하고 각 축척에 해당하는 지도의 레이아웃을 제작하여 향후 실제 남극 소축척 지도 제작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
Map Indices and Coordinate Systems for Small Scale Antarctic Mpas
-
Research Article
-
An Analysis of Changes of the Coastline and Place-name Descriptions of the Korean Peninsula in Late Nineteenth-century British Nautical Charts: Focusing on the Nautical Chart Number 2347 Published between 1876 and 1907
영국 해도에 나타난 19세기 말 한반도의 해안선 및 지명 기재 양상 변화 분석: 1876년에서 1907년 사이에 발간된 2347번 해도를 중심으로
-
Jong-Geun Kim
김종근
- During the 19th century, the United Kingdom, ‘the empire on which the sun never sets’, was one of the most advanced …
19세기 동안 ‘해가 지지 않는 나라’였던 영국은 해도 제작에 있어 가장 앞선 나라 중 하나였으며, 19세기 중반부터는 영국 수로국 제작 해도가 세계 …
- During the 19th century, the United Kingdom, ‘the empire on which the sun never sets’, was one of the most advanced countries in the world in the production of charts, and from the mid-19th century the charts produced by the United Kingdom Hydrographic Office were recognized as the world’s standard charts. The Korean peninsula and surrounding seas were first shown on the British nautical charts in 1855, and the information was gradually added over the years. This study analyses the changes in the coastline and place names of the Korean Peninsula on the British Nautical Chart No. 2347 from 1876 to 1907 in four maps: 1876, 1885, 1891, and 1907.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in 1876, the coastline change was concentrated on the west coast, including Pyeongan-do, Hwanghae-do, and Jeolla-do; in 1885, the coastline of the east coast shifted eastward; and in 1891, the coastline of Jeolla-do and Chungcheong-do showed many changes. The coastline of the nautical chart of 1907 was very similar to the current coastline, confirming that it had reached the stage of completion. In the case of place names on the Korean Peninsula and surrounding seas, the number of place names changed from 341 in 1876, 415 in 1885, 431 in 1891, and 244 in 1907. As it was a nautical chart, the majority of place names were related to coastal features, but there was also a small proportion of human geographical place names. However, it is characterized by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number of human geographical place-names when the nautical chart was completed in 1907.
- COLLAPSE
19세기 동안 ‘해가 지지 않는 나라’였던 영국은 해도 제작에 있어 가장 앞선 나라 중 하나였으며, 19세기 중반부터는 영국 수로국 제작 해도가 세계 표준해도로 인정받았다. 영국 해도상에 한반도와 주변 바다는 1855년부터 본격적으로 등장하였고, 해를 거듭하면서 점차 기재 정보가 확충되어 갔다. 이 연구는 1876년부터 1907년 까지 작성된 영국 해도 2347번에 나타난 한반도 해안선의 변화 및 지명 기재 양상을 1876년, 1885년, 1891년, 1907년에 작성된 총 4개의 해도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해안선의 경우 1876년의 경우 평안도, 황해도, 전라도 등 서해안에서 집중적으로 변경되었고, 1885년의 경우 동해안 해안선이 동쪽으로 이동한 점, 1891년의 경우 전라도 및 충청도 해안에서 많은 변화가 확인되었다. 1907년에 이르러서는 해안선이 현재의 해안선과 매우 유사함을 확인하여 완성 단계에 이르렀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한반도 및 주변 바다에 기재된 지명의 경우 기재된 지명의 개수가 1876년에 341개, 1885년에 415개, 1891년에 431개, 1907년에 244개로 변화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해도인 까닭에 해안 지형과 관련되는 자연지명이 다수를 차지했지만, 인문지명의 비중도 적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1907년 해도가 완성단계에 이르러서는 인문지명이 대폭 감소한 점 또한 특이점으로 확인되었다.
-
An Analysis of Changes of the Coastline and Place-name Descriptions of the Korean Peninsula in Late Nineteenth-century British Nautical Charts: Focusing on the Nautical Chart Number 2347 Published between 1876 and 1907
-
Research Article
-
Characterization of Housing Submarkets using a Time Series Clustering Analysis: Focusing on the Sales Price Index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시계열 군집 분석을 활용한 주택 하위시장 유형화: 수도권 아파트의 매매가격지수를 중심으로
-
Eunhye Ha, Gunhak Lee
하은혜, 이건학
- The real estate market in South Korea has experienced unprecedented volatility in the 2020s, with rapid price fluctuations marked by record-breaking increases …
한국의 주택시장은 2020년대에 들어 유례없는 폭등과 폭락을 반복하는 등 매우 민감한 가격 변동을 경험하였다. 특히 2024년 9월 서울특별시에서는 거래량 급감에도 불구하고 역대 …
- The real estate market in South Korea has experienced unprecedented volatility in the 2020s, with rapid price fluctuations marked by record-breaking increases and decreases. Particularly, in September 2024, despite a sharp decline in transaction volume, the highest average apartment sales price was recorded in Seoul. However, this variability of the housing market differs regionall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nd characterize housing submarkets with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based on time-series apartment sales price indices for the past decade. To do this, monthly apartment sales price index data from 2014 to 2024 are collected at the district level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Utilizing Self-Organizing Map, the price fluctuation over time is mapped onto a two-dimensional space to generate time series graphs. Then, clustering analysis based on the Dynamic Time Warping distance, including K-means and HDBSCAN is conducted to identify distinct housing submarkets. The results indicate that apartment transaction prices in the metropolitan area have consistently risen since 2014, with a dramatic surge starting in 2020, followed by a sharp decline in 2022. However, the price fluctuations’ degree, pattern, and speed varied by region. Ultimately, five distinct submarkets were identified: stepwise variable cluster (Gyeonggi regions near Seoul), short-term variable cluster (northern and southern Gyeonggi regions), stabilized cluster (western Gyeonggi region), underdeveloped peripheral cluster (metropolitan outskirts and border areas), and continuously rising cluster (Seoul and adjacent Gyeonggi reg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developing effective region-specific housing policies by empirically identifying apartment housing submarkets with sensitive price variability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providing an understanding of unique spatiotemporal patterns of submarkets.
- COLLAPSE
한국의 주택시장은 2020년대에 들어 유례없는 폭등과 폭락을 반복하는 등 매우 민감한 가격 변동을 경험하였다. 특히 2024년 9월 서울특별시에서는 거래량 급감에도 불구하고 역대 최고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경신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주택시장의 변동성은 지역에 따라 다소 이질적인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 간의 시계열적인 매매가격지수를 기반으로 수도권 아파트의 주택 하위시장을 유형화하고 그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수도권 시군구 단위로 2014-2024년 월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데이터셋을 구축하였고, 자기조직화 지도를 사용하여 매트릭스 형태의 시계열적 가격 변동을 2차원 공간상에 매핑하여 그래프로 작성하였다. 그 후 동적 타임 워핑을 유사성 척도로 하는 K-평균 군집화 및 계층적 밀도 기반 군집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시계열 군집 분석을 수행하여 주택 하위시장을 식별하였다. 연구 결과, 수도권 지역에서는 공통적으로 2014년 이후 아파트 매매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였고, 2020년을 기점으로 폭등한 후 2022년 급락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지역별로 가격 변동의 정도와 패턴, 속도가 상이하였고 이에 대한 유형화를 진행한 결과 최종적으로 계단형(서울 인근 경기도 지역), 단기변동형(경기도 남・북부 지역), 안정형(경기도 서부 지역), 외곽 저속개발(수도권 외곽 및 접경지역), 지속상승(서울 및 인접 경기도 지역) 총 5개의 하위시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민감한 가격 변동을 보이는 수도권 아파트의 하위시장을 실증적으로 구분하고, 하위시장의 독특한 시공간적 패턴에 대한 이해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실효성 있는 지역 특수적 주택 정책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Characterization of Housing Submarkets using a Time Series Clustering Analysis: Focusing on the Sales Price Index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Research Article
-
Comparison of Physical and Perceived Walking Environment using Street View Images and Deep Learning Technology
거리영상과 딥러닝을 활용한 물리적 보행환경과 인지적 보행환경 평가
-
Jaeyeon Choi, Somang Kim, Seugnmin Noh, Youngok Kang
최재연, 김소망, 노승민, 강영옥
- Walking activity is recognized as playing a crucial role in addressing urban transportation and environmental issues, enhancing public health, and revitalizing local …
보행 활동은 도시의 교통 및 환경 문제, 주민의 건강,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보행의 중요성이 인지되면서 …
- Walking activity is recognized as playing a crucial role in addressing urban transportation and environmental issues, enhancing public health, and revitalizing local communities. As the importance of walking gains recognition, various countries have undertaken diverse initiatives to promote pedestrian-friendly urban environments, and similar efforts are reflected in legislative and institutional frameworks in South Korea. Effective management and improvement of pedestrian environments require detailed assessments of physical walking environments at the street level, as well as an understanding of citizens' perceptions of these environments. Existing studies in this area have predominantly relied on surveys or field investigations limited to specific regions. This study aims to evaluate and compare physical and perceived pedestrian environments at the street level using street view images and deep learning technologies. For the assessment of physical pedestrian environments, evaluation indicators were selected, and data were constructed through semantic segmentation of street view images, elevation data analysis, and crawling of Points of Interest (POI) data. These data were then used to derive evaluation scores. To assess perceived pedestrian environments, a training dataset was constructed to predict perceptions from street view images, and the RSS-SWIN model was trained to estimate pedestrian environment perception scores. Comprehensive maps of physical and perceived pedestrian environments were created, and their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were analyzed. Based on this analysis, improvement strategies for pedestrian environments were propos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its visualization and comparative analysis of physical and perceived pedestrian environments, leading to the proposal of improvement strategies. From a technical perspective, it contributes to the field by systematizing a methodology for detailed street-level pedestrian environment assessment using street view images and deep learning technologies.
- COLLAPSE
보행 활동은 도시의 교통 및 환경 문제, 주민의 건강,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보행의 중요성이 인지되면서 세계각국에서는 보행을 장려하는 도시건조환경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는 우리나라에서도 법제도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보행환경을 관리하고 개선하기 위해서는 물리적인 보행환경을 가로 단위 상세수준에서 평가하고, 시민들의 보행환경에 대한 인지가 어떤지를 아는 것이 필요하다. 기존에 이러한 연구들은 대부분 설문조사나 일부지역에 한 해 현장조사를 수행하는 방법이 주를 이루었다. 본 연구에서는 거리영상과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가로단위 상세수준에서의 물리적 보행환경과 인지적 보행환경을 평가하고, 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물리적 보행환경 평가를 위해 평가지표를 선정하고, 평가지표별로 거리영상의 시멘틱 세그먼테이션 기법을 활용하거나 표고 자료, PoI자료를 크롤링한 후 관련 데이터를 구축하고 평가점수를 도출하였다. 인지적 보행환경 평가를 위해 거리영상에 대한 인지를 예측할 수 있도록 훈련데이타 셋을 구축하고, RSS-Swin모델을 훈련시켜 보행환경 인지점수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였다. 물리적 보행환경과 인지적 보행환경 지도를 구축하고, 각각의 특성과 차이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보행환경 개선안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물리적 보행환경과 인지적 보행환경의 시각화하고 차이를 분석하여 개선안을 도출하였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으며,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거리영상과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도시의 가로단위에서 보행환경을 상세하게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을 체계화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Comparison of Physical and Perceived Walking Environment using Street View Images and Deep Learning Technology
-
Research Article
-
Exploring Temporal Imbalances in Spatial Accessibility to Infant and Pediatric Healthcare Infrastructure: A Case Study of Weekdays Daytime, Nighttime and Weekends in Seoul
영유아 및 소아 의료 인프라의 공간적 접근성에 대한 시간적 불균형 탐색: 서울특별시의 평일 주간, 평일 야간, 주말을 대상으로
-
Huiji Jeong, Jeon-Young Kang
정희지, 강전영
- The continuous low birth rates in South Korea led to a decline in infant and pediatric medical infrastructure and personnel. As a …
한국의 지속적인 저출산 현상으로 영유아 및 소아 의료 시설과 인력이 감소하고 있다. 특히 평일 주간을 제외한 시간대에서는 의료 인프라의 공백으로 시간적 불균형이 …
- The continuous low birth rates in South Korea led to a decline in infant and pediatric medical infrastructure and personnel. As a result, there is temporal imbalances due to gap in medical infrastructure, except during weekdays daytime. Since the demand of ‘After-hours care(AHC)’ exists continuously,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measure spatial accessibility to healthcare services during weekdays daytime, nighttime, and weekends to provide proper services. In this study, using 2SFCA(Two-Step Floating Catchment Area), we explore spatial accessibility to infant and pediatric medical infrastructure during weekdays daytime, nighttime, and weekends in Seoul. Additionally, we consider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spatial accessibility depending on transportation modes(walking and drive). The results show that accessibility during nights and weekends is significantly decrease compared to weekdays in both walking and driving, indicating the necessity of supplementing the provision of healthcare services. Furthermore, this study shows that spatial accessibility patterns differ depending on the mode of transportation, suggesting that healthcare service supplementation strategies should be adjusted accordingly.
- COLLAPSE
한국의 지속적인 저출산 현상으로 영유아 및 소아 의료 시설과 인력이 감소하고 있다. 특히 평일 주간을 제외한 시간대에서는 의료 인프라의 공백으로 시간적 불균형이 발생한다. ‘시간 외 의료 서비스’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적절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야간 및 주말의 의료 접근성에 대한 정확한 측정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two-Step Floating Catchment Area(이하 2SFCA) 방법을 활용하여 평일 주간, 평일 야간, 주말의 영유아 및 소아 의료 인프라에 대한 공간적 접근성을 탐색하였다. 또, 이동 수단(도보, 차량)에 따라 공간적 접근성에 차이가 발생함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도보와 차량을 이용하는 경우 모두 평일 야간과 주말의 접근성이 크게 감소하여 야간과 주말의 의료 인프라 제공 보완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동 수단에 따라 공간적 접근성의 분포가 다른 양상을 보이므로 의료 서비스 보완 대책에 차이를 두어야 함을 보여준다.
-
Exploring Temporal Imbalances in Spatial Accessibility to Infant and Pediatric Healthcare Infrastructure: A Case Study of Weekdays Daytime, Nighttime and Weekends in Seoul
-
Research Article
-
Changes in Geographic Distribution and Clustering of Koreans in Auckland, New Zealand: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2013 and 2023
뉴질랜드 오클랜드 한인의 거주지 분리와 군집 변화: 2013~2023년의 비교 분석
-
Seong-Yun Hong, Yeorim Kim
홍성연, 김여림
- This study examines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residential segregation of Koreans in Auckland using the 2013, 2018, and 2023 census data. The …
본 연구는 2013년, 2018년, 2023년 뉴질랜드 인구주택총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오클랜드 한인의 지리적 분포와 거주지 분리 변화를 분석한다. 연구에서는 단계구분도와 국지적 G 통계량을 …
- This study examines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residential segregation of Koreans in Auckland using the 2013, 2018, and 2023 census data. The segregation levels of Koreans were measured using the index of dissimilarity and exposure index, and several residential clusters were identified using choropleth maps and the local G statistics. The results show that while the residential distribution of Koreans in Auckland maintains distinct clusters, particularly in the northern region, some expansion has also been observed. The level of segregation has been decreased slightly over the years, but separation from Māori and Pacific peoples remained relatively high.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Korean communities in Auckland, New Zealand and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future predictions of how minority groups with similar initial settlement patterns and population sizes may evolve.
- COLLAPSE
본 연구는 2013년, 2018년, 2023년 뉴질랜드 인구주택총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오클랜드 한인의 지리적 분포와 거주지 분리 변화를 분석한다. 연구에서는 단계구분도와 국지적 G 통계량을 활용하여 주요 거주지 군집의 변화를 살펴보고, 상이지수와 노출지수를 통해 한인의 분리 수준을 다른 민족과 비교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오클랜드 한인의 거주지 분포는 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뚜렷한 군집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동남부와 중부에서는 지역적 확산이 나타나는 등 공간적 재구성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오클랜드 내 한인 거주지 군집의 특성과 분리 수준 변화에 관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고, 향후 유사한 인구 규모와 초기 정착 분포를 보이는 소수 집단이 어떻게 변화할지 예측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Changes in Geographic Distribution and Clustering of Koreans in Auckland, New Zealand: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2013 and 2023
-
Research Article
-
Validation of Data Models of National Territory Digital Twin Standards
디지털 트윈국토 데이터 모델 표준 검증
-
Eunmi Chang, Jiwon Kim, Sangki Hong, Byungsun Kim, Jiyoung Lee
장은미, 김지원, 홍상기, 김병선, 이지영
- To support the National Territory Digital Twin (NDT) advocated by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Infrastructure since 2020, we evaluated the …
2020년부터 국토교통부에서 추진해 온 “디지털 트윈국토”정책은 데이터 구축사업과 별도로 국가표준화도 동시에 진행되어 표준과 실제 구축된 데이터 간의 연계성이 부족하다. 2024년에 21종의 표준 …
- To support the National Territory Digital Twin (NDT) advocated by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Infrastructure since 2020, we evaluated the validity of data models among NDT standards. Our aim was to verify the consistency of data models and the validity of four standards on data models in the domains of building, transportation, indoor, and digital elevation model. In the aspect of standards experts and standards users, we used seven different methods. We built data based on the standards of data models in a pilot area and showed the validity and consistency, which will help to understand the data models.
- COLLAPSE
2020년부터 국토교통부에서 추진해 온 “디지털 트윈국토”정책은 데이터 구축사업과 별도로 국가표준화도 동시에 진행되어 표준과 실제 구축된 데이터 간의 연계성이 부족하다. 2024년에 21종의 표준 즉, 건물, 교통, 실내 공간, 수치표고모형, 지하 부문에 각각 데이터 모델, 품질, 메타데이터, 제품 사양이 제·개정되었다. 본 연구는 건물, 교통, 실내 공간, 수치표고모형 4종의 데이터 모델 표준의 유효성 검증 및 데이터 모델 간 정합성 검증을 목적으로 한다. 표준전문가의 입장과 표준 사용자의 입장에서 유효성을 7가지의 방법으로 유효성과 정합성을 검증하였다. 기존의 국토지리정보원의 건물과 교통은 메쉬(mesh)기반의 3차원 구조를 갖는 반면에, 디지털 트윈국토 데이터의 건물과 교통, 그리고 실내 모델은 개별 객체의 구조를 갖고 있고, 기존 수치지도와 국토부의 여러 코드 리스트와도 연계할 수 있는 속성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각 건물, 교통, 실내 공간, 수치표고모형, 각 부문 간의 데이터 모델 표준에서 객체 간 연속성 및 정합성이 보장되도록 클래스 간 논리성을 검증하였다. 검증과정에서 시범지역을 대상으로 한 데이터 구축과 시나리오 구성과 플랫폼 위에 데이터를 올려 시나리오를 적용을 통해 데이터 모델의 유효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
Validation of Data Models of National Territory Digital Twin Standards
-
Research Article
-
Development of a Web-based GIS Teaching and Learning Modules with Public Data: A Case Study of “Inquiry on Cities for the Future” in the 2022 Revised High School Curriculum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웹 기반 GIS 플랫폼 교수·학습 모듈 개발: 2022 개정 고등학교 「도시의 미래 탐구」를 사례로
-
Young Shin Park, Soyoung Lee, Bo Ae Chun
박영신, 이소영, 전보애
- This study aims to successfully implement “Inquiry on Cities for the Future,” a new high school subject introduced in the 2022 revised …
본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신설 과목인 「도시의 미래 탐구」가 학교 현장에서 성공적으로 안착하고 지리교과의 심화과목이자 진로 선택 과목으로서의 정체성을 …
- This study aims to successfully implement “Inquiry on Cities for the Future,” a new high school subject introduc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s a distinctive advanced and elective course in geography. To achieve this, a web-based GIS platform was developed to enhance digital literacy and simplify the use of geographic information through integrated tools for data preprocessing, visualization, and spatial analysis. Designed with HTML and JavaScript, the platform ensures accessibility across diverse educational environments, including low-end devices. This study also proposed a geographical inquiry-based teaching method, enabling students to explore urban dynamics and spatial inequalities through scientific analysis, personal reflection, and critical thinking. By integrating public data with geospatial technologies,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advancing digital literacy and fostering critical inquiry skills in geography education.
- COLLAPSE
본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신설 과목인 「도시의 미래 탐구」가 학교 현장에서 성공적으로 안착하고 지리교과의 심화과목이자 진로 선택 과목으로서의 정체성을 살리기 위한 방안으로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웹 기반 GIS 플랫폼을 개발하고, 교수・학습 모듈을 디자인하는 것이다. 이 플랫폼은 데이터 전처리, 시각화, 공간 분석을 위한 통합 도구를 제공하며, HTML과 JavaScript로 설계되어 저사양 기기를 포함한 다양한 교육 환경에서도 활용 가능하다. 본 연구는 또한 「도시의 미래 탐구」교육과정에 부합하는 교수・학습 모듈을 개발하고, 지리탐구의 수업 실행 방식을 제안하였다. 학습자는 ‘도시’라고 하는 시민성의 공간을 과학적 인식, 개인적 반응, 비판적 사고를 통해 온전히 이해하게 되고, 도시의 역동성과 공간 불평등을 탐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본 연구는 공공데이터와 지리정보기술을 통합한 본 연구는 지리교육에서 디지털 리터러시를 증진하고 비판적 탐구 역량을 강화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Development of a Web-based GIS Teaching and Learning Modules with Public Data: A Case Study of “Inquiry on Cities for the Future” in the 2022 Revised High School Curricul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