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search Article
-
Analysis of Accessibility to Child Care Services in Local Cities Considering Life Cycle: Focusing on Exploring ‘Care Deserts’
생애주기를 고려한 지방 도시의 아동 돌봄서비스 접근성 분석: ‘돌봄 사막’ 탐색을 중심으로
-
Daeheon Cho, Soyoung Lee
조대헌, 이소영
-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comprehensive analysis on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care services, in relation to the life cycle of …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아동 돌봄서비스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의 확대를 통해 사각지대를 해소하고자 노력해 왔지만, 공간적 관점은 부족하였다. 이 연구의 주된 …
-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comprehensive analysis on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care services, in relation to the life cycle of children, and also to identify the spatial pattern of blind spots, which can be conceptualized as ‘care deserts’. To this end, we first reviewed previous studies including theoretical discussions on the subject matter. Then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care services across different life stages is measured and analyzed by utilizing the Two-Step Floating Catchment Area (2SFCA) method. There are three important findings from the empirical analysis. First, the spatial accessibility to care services is found to be most limited during middle school years. Second, across all the life stages accessibility in urban areas is generally higher than that in rural areas. Third, care deserts are shown to exhibit somewhat consistent spatial patterns across all the life cycle stages. These findings are hopefully expected to offer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for the future improvement in the provisioning of care services.
- COLLAPSE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아동 돌봄서비스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의 확대를 통해 사각지대를 해소하고자 노력해 왔지만, 공간적 관점은 부족하였다.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아동의 생애주기를 고려하여 돌봄서비스들의 공간적 접근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돌봄 사막과 같은 사각지대의 공간적 패턴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아동 돌봄서비스의 공간적 접근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이어 2SFCA를 이용해 생애주기에 따른 돌봄서비스의 공간적 접근성을 측정하고, 이를 종합해 돌봄서비스의 사각지대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경상북도의 시군을 사례로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돌봄 사각지대는 크게 거리와 공급의 부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두 경우 모두 중학생 돌봄시설에 대하여 가장 접근성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든 시기에 있어서 도시지역이 농촌지역보다 접근성이 우수하였고, 읍・면 지역의 돌봄의 사각지대가 두드러졌다. 셋째, 접근성이 취약한 지역, 이른바 돌봄 사막은 영유아 시설에서 중학생시설에 이르기까지 공간적으로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생애주기를 고려하여 아동 돌봄서비스의 사각지대가 공간적 패턴을 이루고 있음을 파악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돌봄서비스 제공에 있어 중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
Analysis of Accessibility to Child Care Services in Local Cities Considering Life Cycle: Focusing on Exploring ‘Care Deserts’
-
Research Article
-
Economic and Spatial Agglomerations in Knowledge-based Industries of the Metropolitan Regions in Korea
광역도시권 지식기반산업의 경제 및 공간 집적 특성
-
Nayoung Ryu, Jungyeop Shin
류나영, 신정엽
-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conomic and spatial agglomerations of knowledge-based industries. To investigate economic agglomerations, indices of …
본 연구의 목적은 대도시 지역의 산업구조 변화에 따라 중요성이 강조되어온 지식기반산업의 경제 및 공간 집적에 주목하고 그 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
-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conomic and spatial agglomerations of knowledge-based industries. To investigate economic agglomerations, indices of specialization, diversity and competition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across the metropolitan regions in Korea. Additionally, Getis and Ord’s Gi* was used to identify hot spots assessing the extent of spatial agglomerations while accounting for spatial autocorrelations. The results reveal the presence of specific hot spots based on the type of knowledge-based manufacturing or service industry and the metropolitan region. The largest industrial cluster of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ies was found in the central areas of Seoul metropolitan region.
- COLLAPSE
본 연구의 목적은 대도시 지역의 산업구조 변화에 따라 중요성이 강조되어온 지식기반산업의 경제 및 공간 집적에 주목하고 그 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광역도시권을 연구 지역으로 선정하고, 경제 집적을 측정하기 위하여 지식기반산업의 특화도, 다양성, 경쟁도를 나타내는 지수를 산출하여 집적의 정도를 비교하는 한편, 공간적 측면에서는 공간자기상관을 기반으로 하는 Getis and Ord’s Gi*를 이용하여 집적 정도를 측정하였다. 분석 공간단위는 광역도시권과 시군구 수준으로 구분하였다. 지식기반산업을 지식기반제조업과 지식기반서비스업으로 구분하여 경제 및 공간 집적을 분석한 결과, 각 산업 부문과 광역도시권에 따라 차별적으로 집적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4개의 산업집적 지역유형 중 산업 특화도와 공간자기상관이 높은 유형인 산업집적 클러스터를 확인한 결과, 가장 큰 규모는 지식기반서비스업에서 나타났는데, 그 공간 범위는 서울의 대다수 구 지역과 인접 시구 지역을 포함한다.
-
Economic and Spatial Agglomerations in Knowledge-based Industries of the Metropolitan Regions in Korea
-
Research Article
-
Exploring Discontinuous Spatial Heterogeneity in the Determinants of Apartment Sales Price in Seoul
서울시 아파트 매매가격 결정요인의 불연속적 공간적 이질성 탐색
-
Musang Yoo, Hyeongmo Koo
유무상, 구형모
- House prices are closely related to their locations, and their determinants also involve spatial heterogeneity, which refers to the variations in their …
주택의 가격은 주택이 위치하고 있는 지역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더불어 주택가격 결정요인은 전역적 수준과 하위지역 간 효과의 편차를 보이는 공간적 이질성을 내포하고 …
- House prices are closely related to their locations, and their determinants also involve spatial heterogeneity, which refers to the variations in their effects between global and local models. Recently, spatial heterogeneity has been expanded to differentiate between continuous and discontinuous spatial heterogeneity based on patterns of spatial variation. This study explores the spatial heterogeneity of apartment sales price determinants in Seoul from both continuous and discontinuous perspectives. Specifically, the study implements both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GWR) and regionally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RGWR) models, with the latter incorporating regional constraints into the GWR. The study mainly examines the spatial variation of local regression coefficients both within and between regions, and further compares the two models based on prediction accuracy and the spatial autocorrelation of residual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determinants such as the year of construction highlight the discontinuities between regions in the RGWR without obscuring the spatial variations within a region, providing better explan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discontinuous spatial heterogeneity. The study also confirms that the perspective of continuous spatial heterogeneity remains valid for determinants such as the neighborhood park distance, which maintain continuity both between and within regions. Finally, the RGWR model empirically demonstrates improved results over the GWR model, with higher prediction accuracy and lower positive spatial autocorrelation in the residuals. This study is expected to extend the understanding of spatial heterogeneity, particularly in housing price determinants, and serve as a foundational study for categorizing spatial heterogeneity.
- COLLAPSE
주택의 가격은 주택이 위치하고 있는 지역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더불어 주택가격 결정요인은 전역적 수준과 하위지역 간 효과의 편차를 보이는 공간적 이질성을 내포하고 있다. 최근 공간적 이질성 역시 편차의 변화양상에 따라 연속적과 불연속적으로 구분하는 관점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 아파트 매매가격 결정요인의 공간적 이질성을 연속적 및 불연속적 관점에서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각각 지리가중회귀모형과 공간 경계를 지역 제약으로 하는 확장 모형인 지역-지리가중회귀모형을 사용하여, 자치구 내와 자치구 사이의 국지적 회귀계수의 공간적 변동 양상을 탐색하였다. 나아가 두 모형을 설명력과 잔차의 공간적 자기상관을 기준으로 비교・평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건축 연도와 같이 지역-지리가중회귀모형에서 자치구 간의 불연속성이 강조되고, 자치구 내의 불연속성의 상쇄가 발생하지 않는 결정요인을 불연속적 공간적 이질성 관점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여전히 근린공원 거리와 같이 자치구 간에서의 연속성이 유지되는 것이 적합한 변수들이 존재하여 연속적 공간적 이질성의 관점이 유효함 역시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서울의 경우 모형의 설명력과 잔차의 공간적 자기상관 관점에서는 지역-지리가중회귀모형이 기존 지리가중회귀모형보다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주택가격 결정요인에 있어 공간적 이질성의 변동 양상에 대한 인식을 확장하고, 나아가 공간적 이질성의 유형화에 대한 기초 연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Exploring Discontinuous Spatial Heterogeneity in the Determinants of Apartment Sales Price in Seoul
-
Research Article
-
Exploration of Spatial Characteristics in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in South Korea Using the Composite Index of Urban Strength
도시역량 종합 지표를 이용한 도농복합시의 공간 특성 탐색
-
Asoo Choi, Jungyeop Shin
최아수, 신정엽
- The term “urban-rural consolidated city” refers to a type of city that emerged in South Korea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local …
우리나라의 도농복합시는 1995년 지방자치제도가 시행되면서 등장한 도시 유형으로, 도시와 농촌의 균형발전을 목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54개 도농복합시를 대상으로 인구, 사회, …
- The term “urban-rural consolidated city” refers to a type of city that emerged in South Korea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local autonomy system in 1995, to promote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and changes in urban strength (urban capacity) for 54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in South Korea. Urban strength is quantified through a composite index comprising 14 indicators across four domains: population, society, economy, and infrastructure, for 2010 and 2020.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ities with larger populations tended to exhibit higher urban strength. Second, from 2010 to 2020, there was a general trend of a narrowing range in urban strength indices among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Thir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when comparing urban strength among the three categorized groups of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 COLLAPSE
우리나라의 도농복합시는 1995년 지방자치제도가 시행되면서 등장한 도시 유형으로, 도시와 농촌의 균형발전을 목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54개 도농복합시를 대상으로 인구, 사회, 경제, 인프라의 4개 영역, 14개 지표로 구성된 도시역량 지표를 종합지수화하여 2010년과 2020년의 도농복합시 도시역량의 공간 분포 패턴 및 변화를 실증적으로 탐색한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가 많은 도시일수록 도시역량이 높은 경향이 나타났다. 둘째,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전반적으로 도농복합시 도시역량 지수의 범위가 축소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셋째, 세 집단으로 유형화한 도농복합시의 도시역량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
Exploration of Spatial Characteristics in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in South Korea Using the Composite Index of Urban Strength
-
Research Article
-
Exploring the Impact of Youth Migration on Population Redistribution
청년층 인구이동이 인구 재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Sechang Kim, Soyoung Lee, Daeheon Cho
김세창, 이소영, 조대헌
-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the impact of youth migration on population redistribution. To this end, Crude Migration Intensity (CMI) and …
이 연구의 목적은 청년층의 이동이 인구 재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청년층의 이동을 대학 진학과 취업 목적으로 구분하고, 다양한 스케일에서 …
-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the impact of youth migration on population redistribution. To this end, Crude Migration Intensity (CMI) and Migration Effectiveness Index (MEI) were measured at various spatial scales, with youth migration being categorized based on two primary purpose (i.e., higher education and employment).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higher education driven migration plays a significant role in population redistribution across all the spatial scales. Secondly, employment-related migration tends to be concentrate in particular regions, and the geographical scope of education-driven migration is also relatively limited. Thirdly, the influence of youth migration for university education and employment differs among gender groups. Finally, the population structure of a region is considered to be closely linked to youth migration. These findings are hopefully expected to offer important implications for diagnosing and addressing population issues in South Korea.
- COLLAPSE
이 연구의 목적은 청년층의 이동이 인구 재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청년층의 이동을 대학 진학과 취업 목적으로 구분하고, 다양한 스케일에서 조이동강도와 인구이동 유효도 지수를 산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진학 관련 이동은 시군구뿐만 아니라 모든 스케일에서 인구 재분포에 상당히 큰 역할을 하고 있었다. 둘째, 취업 이동은 특정 권역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었고, 이동 범위도 대학 진학을 위한 이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범위에 국한되어 나타났다. 셋째, 청년층의 대학 및 취업을 위한 이동의 영향력은 성별에 따라 편차가 존재하였다. 넷째, 성비를 사례로 탐색한 결과 한 지역의 인구학적 결과는 청년층의 인구이동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우리나라의 지역별 인구문제 진단 및 대응책 마련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Exploring the Impact of Youth Migration on Population Redistribution
-
Research Article
-
Predicting Landslide Susceptibility Using High-resolution Active Remote Sensing Data: An Interpretable Machine Learning Approach
고해상도 능동형 원격탐사 자료를 활용한 산사태 민감도 예측: 해석가능한 기계학습 접근
-
Yonghun Suh, Gunhak Lee
서용훈, 이건학
- In recent years, increasing extreme weather events have further escalated the risk of landslides. Since the landslide leads to serious loss of …
최근 늘어나고 있는 이상 기상 현상으로 산사태 위험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산사태는 막대한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를 초래할 수 있기에 이러한 위험을 …
- In recent years, increasing extreme weather events have further escalated the risk of landslides. Since the landslide leads to serious loss of human life and property, it is very important to evaluate such risks in advance. The recent advancements in active remote sensing methods have made it easier to access more accurate and detailed surface displacement and rainfall data. However, there have been few works of using such actively remote sensed dataset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suggest a machine learning model to predict landslide susceptibility using InSAR (Interferometric SAR) displacement data and HSR (Hybrid Surface Rainfall) estimates as inputs for machine learning models. Moreover, we evaluate the influence of predictor variables for landslide susceptibility systematically by utilizing a SHAP (SHapley Additive exPlanations) model as an interpretable machine learning approach, which has the strength of overcoming a black-box problem with general machine learning models. As a result of case study for Uljin-gun, Gyeongsangbuk-do, XGBoost shows the best predictive performance for landslides and predictor variables such as distance from roads, elevation, maximum daily rainfall intensity, vegetation index, 48 hours accumulated antecedent rainfall, slope, terrain wetness, distance from fault-line, absolute value of surface displacement, and distance from rivers on landslide prediction are identified as key factors for influencing landslide prediction. In particular, rainfall intensity and the absolute value of surface displacement obtained from active remote sensing are contributed to a higher probability of landslide occurrence. This study would be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presents the applicability of active remote sensed data for landslide susceptibility analysis through the empirical examination. Also, spatially and temporally changing landslide susceptibility based on such actively sensed data could be effectively utilized for landslide monitoring.
- COLLAPSE
최근 늘어나고 있는 이상 기상 현상으로 산사태 위험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산사태는 막대한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를 초래할 수 있기에 이러한 위험을 사전에 평가함은 매우 중요하다. 최근 기술 발전으로 인해 능동형 원격탐사 방법을 사용하여 더 정확하고 상세한 지표 변위 및 강수 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산사태 예측 모델을 개발하는 연구는 찾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합성개구레이더 간섭법(InSAR)을 사용한 지표 변위 자료와 하이브리드 고도면 강우(HSR) 추정 기법을 통한 강수 정보를 활용하여 산사태 민감도를 예측하는 기계학습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나아가 기계학습의 블랙박스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해석가능한 기계학습 방법인 SHAP을 이용하여 산사태 민감도의 영향 변수에 대한 중요도를 체계적으로 평가하였다. 경상북도 울진군을 대상으로 사례 연구를 수행한 결과, XGBoost가 가장 좋은 예측 성능을 보이며, 도로로부터의 거리, 지표 고도, 일 최대 강우 강도, 48시간 선행 누적 강우량, 사면 경사, 지형습윤지수, 단층으로부터의 거리, 경사도, 지표 변위, 하천으로부터의 거리가 산사태 예측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로 밝혀졌다. 특히, 능동형 원격탐사를 통해 얻은 자료인 강우 강도와 지표 변위의 절댓값이 높을수록 산사태 발생 확률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능동형 원격탐사 자료의 산사태 민감도 연구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해당 자료를 바탕으로 시공간적으로 변하는 산사태 민감도를 도출함으로써 향후 산사태 민감도 모니터링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redicting Landslide Susceptibility Using High-resolution Active Remote Sensing Data: An Interpretable Machine Learning Approach
-
Research Article
-
Analysis of Potential Habitat Distribution of Invasive Turtles in South Korea
외래 거북의 잠재서식지 분포 분석
-
Sohee Kim, Yunju Cho, Jongchul Park, Hae-jun Baek, Minjeong Seok, Youngjun Park
김소희, 조윤주, 박종철, 백혜준, 석민정, 박영준
- This study analyzes the potential habitat distribution of four invasive turtle species (Trachemys spp., Pseudemys concinna, Mauremys sinensis, …
본 연구는 생태계교란생물로 지정된 네 종의 외래 거북(붉은귀거북 속, 리버쿠터, 중국줄무늬목거북, 플로리다붉은배거북)에 대한 잠재서식지 분포를 분석하였다. 잠재서식지 예측에는 지형, 기후, 토지피복, 인간의 …
- This study analyzes the potential habitat distribution of four invasive turtle species (Trachemys spp., Pseudemys concinna, Mauremys sinensis, and Pseudemys nelsoni) designated as invasive species. The potential habitats were predicted using 16 environmental variables, including topography, climate, land cover, and human impact, along with the MaxEnt machine learning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reas with high occurrence frequencies were similar across all species. The habitats of invasive turtles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urbanized areas and regions with high human accessibility. In contrast, the influence of natural factors such as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was relatively low. The potential habitat analysis demonstrated high simulation efficiency, with an AUC value of 0.913. The findings suggest that monitoring and management efforts should focus on urban and peri-urban areas, including regions near major roads, to effectively control the spread of invasive turtles. This research provides essential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strategies to mitigate the ecological impact of invasive species.
- COLLAPSE
본 연구는 생태계교란생물로 지정된 네 종의 외래 거북(붉은귀거북 속, 리버쿠터, 중국줄무늬목거북, 플로리다붉은배거북)에 대한 잠재서식지 분포를 분석하였다. 잠재서식지 예측에는 지형, 기후, 토지피복, 인간의 영향 등 16개의 환경변수와 MaxEnt 머신러닝 모델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출현 빈도가 높은 지역이 모든 종에서 유사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외래 거북의 서식지는 도시화 및 인간의 접근성이 용이한 지역과 연관성이 높았다. 반면, 강수량과 기온과 같은 자연적 요인의 영향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잠재서식지 분석 결과는 AUC 값이 0.913으로 높은 모의 효율을 보여주었다. 이는 외래 거북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주요 도로 주변을 포함한 도심 및 도시 주변 지역에 대한 모니터링과 관리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외래종으로 인한 생태계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전략 수립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
Analysis of Potential Habitat Distribution of Invasive Turtles in South Korea